|
북한 개선과 북한 인권 실태) , 정운종 , 2010
(유엔 대북인권 결의안 뜻) , 김종일, 2010
북한인권정보센터 http://www.nkdb.org/ 1. 서 론 ................................................................................ 1
2. 북한인권의 법, 제도적 문제 .......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500원
- 등록일 2010.12.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북한인권의 실효적 개선이라는 원칙을 유지하는 가운데 그것을 실현하는 한 방편으로 다자적 접근의 유용성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정부는 EU 등 유엔 인권위 회원국들이 북한인권결의안을 상정된 후 입장을 개진할 것이 아니라, 주요국들과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08.09.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인권문제가 급변사태의 하나의 원인이 될 수도 있다. 북한의 인권문제는 2003년부터 국제 사회 및 미국으로부터 결정적인 관심의 대상으로 떠오르고 있다. 2003년 유엔 인권위원회 제59차 회의에서 대북 인권결의안이 통과된 이후, 2004년 4월 제6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10.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박탈당하고 있는 개인들을 구하기 위한 국제인권운동의 일환으로 제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 북한의 인권문제에 대하여
▶ 북한 인권 문제
▶ 북한에 대한 유엔 인권위원회의 결의안에 우리정부가 기권한 이유
▶ 나의 입장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8.07.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유엔인권(UN인권, 국제연합인권)의 위원회
1. 국가별 인권 결의 내용
쿠바, 쿠르크메니스탄, 북한, 벨라루시, 체첸, 짐바브웨, 헝가리, 중국 등 8개국 인권상황에 대한 9개 결의안이 채택되었다. 이 가운데 체첸, 중국, 짐바브웨 등의 인권상황에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7,500원
- 등록일 2013.07.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북한인권문제와 관련된 국내 NGO의 출현과 활동이 활발히 진행 중인데 “북한인권시민연합” “좋은 벗들” “북한민주화네트워크” “탈북난민UN청원운동본부” “두리하나 선교회” 등이 그 예가 되겠다. 이들은 사실 북한인권문제의 정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3,800원
- 등록일 2021.07.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북한의 체제보장에 도움이 되지 않으며, 김정일 정권의 전 방위 실리외교와 고립탈피라는 정책 방향과도 맞지 않는다. 유엔의 북한인권결의안과 미 국무부 인권보고서에 대한 북한 외무성의 반복된 주장.「동아일보」,2006.3.14 참조.
<참고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8.12.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인권
3 문화적 삶의 저해 요소
4 문화적 삶을 위해
Ⅱ. 과학 기술과 인권
1. 과학기술과 인권
2. 과학기술과 인권의 쟁점들
3. 과학기술의 인권침해
4. 기술시민권
Ⅲ. 북한 인권문제의 특성과 현안
1. 북한 인권문제의 특징
2. 북한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7.03.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인권문제 해결 모색점 (대선과 관련하여)
사실상 남북 정상회담에서 북한인권 문제에 대한 뚜렷한 성과가 없었다. 남북 정상회담은 남북한의 중요한 현안문제를 논의하고 해결할 수 있는 최고위급 회담이라는 측면에서 북한 인권문제 해결의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8.01.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인권 문제를 접근하는 가장 좋은 방법이 될 것이다. 참고로 북한 인권법안과 관련하여 우리 정부와 정치권의 반응은 다양하다. 정부는 과거 2003년 4월 16일 제59차 유엔인권위원회에서 처음으로 북 인권 결의안 통과 표결에서 “남북 화해와 협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600원
- 등록일 2007.04.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