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는 모음 뒤에서 '가'로 교체하지 않는가에 대해 문제를 제기한다. 최기용(1993)은 서술적 명사구의 명사 핵의 위치적 차이가 주격 실현의 차이를 가져왔다고 주장한 것에 대해 위치에 따른 조사 실현의 차이가 이 경우 외에 그 존재가 긍정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500원
- 등록일 2005.04.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3)에서 제시한 둘 간의 음성적 실현 양상의 차이가 둘 간의 형태적 환경 차이와 연관이 있다는 점을 말하고 있다. 주격조사의 음성적 실현의 환경이 단어의 끝이라면, 계사의 음성적 실현의 환경은 단어의 내부라는 것, 즉 두 형태적 환경이 서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500원
- 등록일 2005.04.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문법적이라는 점으로 복사의 양상과 관련하여 이는 다음과 같이 정리될 수 있을 것이다.
(3) '-기는' 왼쪽의 형태가 그대로 복사되어야 한다.
즉 (2다)는 '-기는' 왼쪽의 형태 중 '-시'가 복사되지 않아 비문법적인 것으로 보는 것이다. 마찬가지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500원
- 등록일 2005.04.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함을 보여주는 논거로 재해석 될 수 있음을 주장하고 있다.
(8) TP
AgrP
AgrP AgrP
Agr Agr
VP VP
NP NP V Agr NP NP V Agr Tense
아버님이 노래를 하 고 어머님이 춤을 추 시 ㄴ다
이상의 논의에서 논자는 한국어에서 Agr가 독립된 통사적 실체로 존재하여야 한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5.08.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있다.
(8) 철수가 [영이가 성욱이를 만났다고] 믿는다.
이러한 경우를 위해 강명윤은 Stowell의 "격 저항 원리"에 의거, 문장은 A-bar 위치로 이동한다고 본다. 하지만 필자는 원리적 설명이 없기 때문에 정당한 해결이 되지 않는다고 본다.
3.3. LF-이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08.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생각하며 이 문제 해결을 위해 (8)을 제시하고 있다.
(8) 명사-부가 구조의 경우 격은 최상위 명사 조각에만 실현된다.
다섯 번째 차이를 알아보자. (6)의 구조에서 볼 때, DP와 NP에 각각 격이 부여되어야 한다. 그에 반해, 분류사-격형에서는 명사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08.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마지막으로 일본어와 한국어의 영 목적어의 해석을 둘러싼 현상을 토대로 이들 언어에서 동사의 이동이 있다고 주장한 Otani and Whitman(1991)의 논증을 들 수 있다. 이 논의들에 대한 구체적인 것은 이해가 확실히 가지 않는 부분으로 이 역시 직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04.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는 격을 부여하는 능력을 지니고 있다. 그런데, 이 경동사가 부여하는 격은 하위동사에 의해 결정되는 것 같다. 즉, 하위동사가 목적격을 부여하는 동사라면 이 동사는 언제나 목적격을 부여한다(7가). 그리고, 하위동사가 목적격을 부여하지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04.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 Tense 위치는 주어 위치를 성분통어 할 수 있다. 만일 Neg 요소가 Tense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면 이 위치에서 주어 위치의 부정 극어를 허가하는 방법이 가능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효과는 한국어에서 동사인상(V-raising)을 가정함으로써 얻을 수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5.04.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이 할당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구문과의 대비로 보면 주격이 할당되는 것이 분명하다. 강영세(1987:92)는 국어의 격부여 규칙을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7) 가. [-상태성] 동사의 자매항인 명사구-논항은 D-구조에서 S-구조로의 유도과정 속에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5.04.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