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양명학, 청계
◎ 한국양명학히(2001), 왕양명 철학연구, 청계 Ⅰ. 개요
Ⅱ. 양명학의 의의
Ⅲ. 양명학의 시대적 배경
Ⅳ. 양명학의 양지론
Ⅴ. 양명학의 심즉리설
Ⅵ. 양명학의 知行(지행)과 격물치지
Ⅶ. 양명학과 동양정신사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1.04.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사회의 문제들을 해결하면서 도덕적인 사회를 이룩하고자 함.
3) 양명학
· 명대의 왕수인(王守仁)에 의해 형성
· 내용
- 주자학을 비판하고 심즉리설(心卽理說), 지행합일설(知行合一說), 치양지설(致良知說) 등을 주장
- 심즉리설 - 인간의 본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1.04.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사물은 없다'는 근본 뜻이다. 그러나 치양지설을 주장한 후부터 이보다 심에 중심이 옮겨졌다. 즉 심의 외화(外化)가 곧 자연적인 사물이라는 것으로 사물현상은 심의 현상물이라 했다.
2) 지행합일(知行合一)
아름다운 꽃을 보는 것은 지(知)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02.10.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설(知先行後說)을 거부하고, 즉 주자의 주지(主知)적 태도를 시정하여 유가 본래의 주행(主行)적 실천주의를 설명하는 또 다른 표현이다. 양명의 격물치지나 지행합일은 모두 심즉리를 기초로 하였다. 심와에 이(理)가 없고, 심 외에 사(事)가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5.08.3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사물은 없다'는 근본 뜻이다. 그러나 치양지설을 주장한 후부터 이보다 심에 중심이 옮겨졌다. 즉 심의 외화(外化)가 곧 자연적인 사물이라는 것으로 사물현상은 심의 현상물이라 했다.
2) 지행합일(知行合一)
아름다운 꽃을 보는 것은 지(知)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02.10.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