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합검색
  • 대학레포트
  • 논문
  • 기업신용보고서
  • 취업자료
  • 파워포인트배경
  • 서식

전문지식 11건

東國通鑑》의 史學史的 意義 《東國通鑑》은 당시의 집권세력이었던 훈구세력과 정계에 갓 진출한 신진 사람이 어느 정도는 정치적 균형의 기틀을 마련하면서 왕권의 강화를 추구하였던 成宗시대 중엽에 완성된 최초의 官撰通史이다. 이런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0.02.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東國通鑑》體裁 분석」, 『지역과 역사』제11호, 부경역사연구소, 2002. ______, 「《東國通鑑》史論 분석」, 『역사와 경계』제48호, 부산경남사학쇠, 2003. 이우성, 『조선전기사학사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1981. ______, 『한국의 역사인식』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09.09.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東國文化社, 1960. 《高麗時代 后妃》, 민음사, 1992. 《三國史記》, 景仁文化社, 1973. 《三國遺事》, 景仁文化社, 1973. 《東國通鑑》, 조선광문회, 1911. 《東文選》, 徐居正, 민족문화추진회, 1997. 《朝鮮王朝實錄》, 國史編纂委員會, 1968∼1970.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06.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적(道學主義)적 역사 인식으로 이행하는 과도기의 통사로서 나타난 것이었으며, 이후 사림의 집권을 공고히하여 후세의 본보기로 삼을 수 있는 사서로 만들었던 것이다. 3. 결론 『동국통감』은 사림이 소위 훈구파와 정치적 갈등을 일으키면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0.02.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東國通鑑』을 편찬하였고,『新編東國通鑑』은 그것을 약간 수정하거나 거기에 주로 사론을 더 첨가하여 편찬하였다는 점에서『東國通鑑』은 훈구와 사림세력의 합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책은 훈구세력의 마지막 사서로서 의미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13.08.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