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개음화의 형태론적 특성
① 단일어 내에서 ‘ㄷ-구개음화’가 일어나지 않는다.
마디 /mati/ → [madi] * [mai] 반디 /panti/ → [pandi] * [pandi] 부디 /puti/ → [pudi] * [pudi]티끌 /thik\'l/ → [thik\'l] * [thik\'l]느티나무 /nthinamu/ → [nthinamu] *[nthinamu]
한 형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5.12.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형태론적 조건의 변화 과정
2.1.2.1 형태론적 조건에 의한 발생
2.1.2.2 형태론적 조건의 확장
2.1.3 규칙의 소멸
2.2 비음화
2.2.1 장애음의 비음화
2.2.1.1 평음의 비음화
2.2.1.2 ㄴ첨가 후의 비음화
2.2.1.3 종성규칙 후의 비음화
2.2.2 유음의 비음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3,700원
- 등록일 2022.08.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 나그네(남편), 안깐(아내), 아재비/아주바이(아저씨), 아지미/아주마이(아주머니, 형수), 올찌세미(올케), 가스집(가시집, 처가), 1. 음운
2. 문법
3. 어휘
4. 육진방언
1) 육진의 의미와 특징
2) 음운론적 특성
3) 형태론적 특성
|
- 페이지 21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8.06.29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형태론적 특성과 어휘면에서의 중요성도 자주 논의되고 있는 실정이다. 제주방언의 언어적 중요성은 이처럼 음운과 문법, 어휘 등에서 그대로 확인되므로 제주방언은 \'언어의 보배\'라 할 수 있다.
생활언어로서 제주방언을 조상 대대로 이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3.10.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형태론적 현상으로 비슷한 특성을 가진 음소의 연결로 청각효과가 약화되어 의미가 불분명해질 경우에 나타나는 현상이다. 청각효과를 높이는 방향으로 변하는 현상은 이화(dissimilation)라고 한다.
모음조화 파괴현상
사잇소리현상 - 자음삽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2.12.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