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언어와 국어
2. 말소리
3. 단어
4. 어휘
5. 문장
6. 의미
7. 이야기
8. 국어의 규범
Ⅱ. 이익섭 ․ 채완「국어문법론강의」, 허웅「국어학」비교
1. 형태론적 관점
2. 통사론적 관점
Ⅲ. 맺음말
Ⅳ. 참고문헌
|
- 페이지 22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1.01.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채완, 『국어문법론강의』(서울: 학연사, 2007). p. 386.
내포문은 명사형 어미, 관형사형 어미, 부사형 어미를 통해서 실현된다.
명사형 어미를 통해 실현된 내포문의 경우, 일반적으로 ‘-ㅁ’과 ‘-기’을 통해 실현되며, 중세국어에서는 ‘-디
|
- 페이지 25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7.10.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6) 이것은 무엇으로나 쓸 수 있겠지요?
‘나’는 수량사 다음이나 정도부사 다음에 쓰일 때 과장이나 강조의 의미를 더 강하게 띠는 수도 있다.
(7) 덤을 다섯 개나 주더라.
(8) 오늘은 무척이나 덥구나.
2) ‘나마’의 의미
‘나마’는 ‘나’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9.01.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국어에서도 마찬가지다. 서로 존댓말을 하다가 친해지면 반말하는 사이로 바뀌는 것이다. 그러나 국어에서는 권세의 영향력이 유대의 영향력보다 크다는 것이 서구어와 다르다. 아무리 친한 사이가 되어도 뛰어넘을 수 없는 벽이 국어에는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9.01.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쓰임.
(1) a. 비가 오네.
b. 지금쯤 영희가 부산에 도착했겠네.
c. 영희가 우산을 두고 갔네.
(2) a. 이런! 지갑을 안 가지고 왔네.
b. 내 참 별꼴을 다 보겠네.
c. 이렇게 비가 오는데 우산이 없으니 야단났네.
(3) a. 산에는 꽃이 피네, 꽃이 피네. (김소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01.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