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의한 손해배상청구권과 부당이득반환청구권 중 어느 것이나 선택적으로 행사할 수 있다.
Ⅴ. 丙과 甲의 관계
1. 선의의 丙의 경우
丙이 선의인 때에는 민법 제110조 3항의 규정에 의하여 乙은 토지의 반환을 청구할 수 없다. 따라서 丙은 아무런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3.11.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물권변동의 또 하나의 성립요건이라는 설
2) 논의의 실익
2. 특수문제
(1) 채권행위의실효(무효, 취소, 해제)에 의한 물권 3
1)문제점
2)견해
①무인성설
②유인성설
③판례의 태도
3) 선의의 제3자 보호규정
(2) 재단법인 설립에 있어
|
- 페이지 29페이지
- 가격 6,000원
- 등록일 2004.01.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의한 한국민법론, 박영사, 2004.
노종천 김학환 최창귀 최준기 공저, 민법학론, 형성출판사, 2003.
이상태, 물권 채권준별론을 취한 판덱텐체계의 현대적 의의, 건국대학교 출판부, 2006.
이영만, “물권변동에 있어서 의사주의와 형식주의에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2.03.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가지고 있는 경우, A가 그 토지의 소유권을 취득하여도 저당권이 실행되는 경우 A의 1번 저당권은 소멸하지 않는다(통설적 견해, 반대설-이은영- Ⅰ. 총 설
Ⅱ. 물권행위
Ⅲ. 부동산물권변동과 등기
Ⅳ. 동산물권의 변동
Ⅴ. 혼 동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4.05.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물권행위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하나의 행위로 행해지는 것이 원칙이다. 따라서 민법 제186조의 법률행위나, 제188조 1항의 양도에서 말하는 법률행위는 각각 물권행위를 가리키는 것이며, 이 물권행위는 보통은 채권행위 속에 포함되어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5.07.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