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낙양춘의 특징에 대해 알아보고, 현 낙양춘과 보허
자와 보허자의 파생곡들에 대해 알아보았다. 현 낙양춘과 보허자는 『고려사』「악지」에 전하는 낙양춘보허자와 비교하여 많은 차이점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낙양춘과 보허자는 기존의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3.01.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낙양춘·보허자 등 곡 | 을 연주
+- 궁중정재 : 창작무가 가장 많은 시기
+- 당악의 향악화 : 보하자와 낙양춘만이 당악으로 남음
+- 궁중악원의 변화 : 악원은 생활이 어렵고, 사회적 지위가 낮아 악원의 수는 후대 로 갈수록 감소
(2) 민간음악의
|
- 페이지 29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5.02.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낙양춘〉뿐인데, 모두 향악화되었다.
즉, 오늘날 〈향당교주〉라고 불리며 연주되고 있는 곡은, 〈표정만방지곡 表正萬方之曲〉, 일명 〈관악영산회상 管樂靈山會相〉 또는 〈삼현영산회상 三絃靈山會相〉의 첫째 곡 〈상영산 上靈山〉의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8.07.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나위,남도민요에서 평으로 내는 목에서 4도 상행하여 종지하는 유형
참고문헌
김달성, 새로운음악통론 세광음악출판사,1986
김성수외, “고등학교 음악 교과서”, 대학교과서(주),2001
국립국악원,“초,중등 교사를 위한 국악실기교재”, 국립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9.11.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문묘제례악, 종묘제례악과 관악합주인 보허자, 낙양춘, 유황곡, 정동방곡, 여민락만, 본령, 해령 등에 편성되는데 어떠한 음악에서든지 편종과 편경은 반드시 함께 편성된다. 편경은 편종과 마찬가지로 악기의 특수성 때문에 쉽게 제작할 수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01.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