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체협약체결권을 미리 제한하거나 박탈하는 것이 아니므로 유효하며, 다만 그 새로운 유효기간은 노동조합법 제35조 제1, 2항의 제한을 받는다고 할 것이다. (대법원 1993. 2. 9. 선고 92다27102 판결) 1. 단체협약의 종료관련 법리
2. 단체협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9.11.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법상 단체 교섭권의 보장이 형해화 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6) 해고협의동의조항의 경우
해고동의 조항에 의한 사용자의 동의의무는 협약의 종료와 함께 소멸된다고 보는 견해가 있으나, 해고동의조항은 단체협약의 규범적 부분을 이루는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9.02.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종료와 협약당사자의 권리/의무
사용자와 노조간의 권리/의무는 협약의 실효와 함께 원칙적으로 종료한다. 그러나 채무적 부분 전체가 일률적으로 실효된다고 볼 것은 아니고 당해 조항의 성질 및 내용에 따라 개별적/구체적으로 판단해야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0.12.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단체 또는 지부/분회 : 단체교섭의 당사자가 될 수 있는지에 준하여 판단
나. 사용자
Ⅳ. 단체협약의 성립요건
1. 내용
규범적부분을 전혀 규정하고 있지 아니한 단체협약은 노조법상 단협이라고 볼 수 없다.(판)
1) 규범적부분
2) 채무적부분
3)
|
- 페이지 38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8.12.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노조법상 노동쟁의․쟁의행위․조합활동
-2. 쟁의행위의 정당성
-3. 쟁의행위의 태양 및 유형별 정당성
-4. 생산관리
-5. 준법투쟁의 정당성
-6. 쟁의행위에 대한 노조법상 규율
-7. 위법한 쟁의행위의 책임
-8. 쟁의행위와
|
- 페이지 29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9.05.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