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 처해진다. 반면 장형사동문에서는 피사동주의 의지가 반영된다. 강요적이든 자발적이든지 간에 피사동주의 수행의지 없이는 장형사동문이 성립하지 않는다. 즉 단형사동문은 타동사문의 일종이기 때문에 피사동주는 철저히 객체로서만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900원
- 등록일 2007.08.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사동. ‘놀다+리’>
나. 사원들이 논다. <비사동>
다. 아이들이 왼손잡이라고 허생원을 놀렸다. <비사동. ‘희롱하다’의 뜻>
○ 가. 장군은 말을 달렸다. <비사동. ‘달리다’는 주동사>
나. 말이 달렸다. <비사동>
4. 단형 사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12.09.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문법, 임홍빈 외, 한국방송통신대학출판부, 2001
2. 표준국어문법론, 고영근·남기심, 탑출판사, 1994
3. 학교문법론, 이관규, 월인, 1999 1. 사동정의
2. 사동사의 형식
3. 단형 사동 장형 사동의 차이
4. 피동의 정의
5. 피동문의 형식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01.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사동법 중에서도 장형사동인 \"-게/긔/케/에 힝다\"형이 단형사동보다 생산적으로 쓰여 근대국어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서원을 이루게 해달라는 요청이므로 직접적 의미의 단형사동이 아닌, 간접적 의미의 장형사동이 쓰인 것이다.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2,800원
- 등록일 2007.09.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사동법이라 한다. 어떤 일이 이루어지게 원인을 제공한 것을 사동이라하고, 결과를 결과 당사자의 행위로 표현하는 것을 주동이라 한다. 사동법을 실현방법에는 주동표현에 사동접사(이히리기우구추)가 붙어진 것을 파생적 사동법(단형사동)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17.10.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