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런게 가능한 이유는 π는 순환하지 않는 무한소수 이기 때문에 누가
더 많이 외우는지를 하는 거랍니다.
자. 우리가 중학교 2학년때는 유리수를 중학교 3학년때는 무리수라는 것을 배웠어요 이것들을 합해서 실수라고 합니다.
(벤다이어 그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9,660원
- 등록일 2012.12.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무리수임을 증명, 아르키메데스(B.C 287?~212)의 무리수인 원주율 연구, 아폴로니우스(B.C 262?~200?)의 이차곡선 연구, 헤론(B.C 130~75?)의 헤론의 공식 등이 연구되어가면서 무리수가 점차 인정되기 시작하였다. 특히, 수론에서의 이차 이상의 방정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1,900원
- 등록일 2016.11.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무리수가 될 수 있음을 알아간다.)
제곱근의 뜻으로부터 양수 a의 제곱근은 와 이므로
임을 알 수 있습니다.
또, 양수 a에 대하여이므로 임을 알 수 있습니다.
3. 의 제곱근은 얼마인가요?
왜 그렇게 되죠?
넓이로 생각하면 은 어떻게 생각하나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2,200원
- 등록일 2014.03.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연장될 때 그 쪽에서 만난다. ● 피타고라스 학파의 수학
● 피타고라스 학파의 산술
● 피타고라스 정리와 무리수의 발견
● 무리수(irratioanal numbers)란 무엇인가
● 무리수의 발견은 어떤 결과를 가져왔는가?
● 기하학이란?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10.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따라서 같은 표준으로 잴 수 없는(incom-mensurable) 선분들이 존재하게 된다.
★가 무리수임을 증명
<아리스토텔레스 증명>
를 유리수 즉, =(는 서로소인 정수)이라고 가정하자.
이므로 은 짝수이고, 도 짝수이다.
= 2 이라고 하면, 2 = = , 즉, =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600원
- 등록일 2014.07.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