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치원」, 이우성, 창작과 비평, 1975
「아 발해」,송언, 우리교육, 2000
「발해의 기원과 문화」, 최무장, 한국학술정보, 2002 서론
-도입부
-우리가 발해사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 이유
본론
-발해가 고구려를 계승한 역사적 근거
결론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9.12.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고구려사*발해사*고조선사*부여사에 대한 연구성과들을 수집*분석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둘째, 중국의 동북공정은 고구려사에 한정된 것이 아니므로 오늘날의 조선족 문제에 이르기까지 포괄적인 측면에서 연구가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셋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7.06.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정치적 예속뿐만 아니라 시간적 계승도 포함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되었던 나라로 취급하여 발해사를『고구려세가』에 붙여서 서술하였다. 위와 같이 허목도 발해가 고구려를 계승하였던 것으로 이해하였을 것이다. 그러면서 그는 서문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08.02.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2)민중의 생활
3.발해사의 전개과정과 사회의 구조
1)발해사의 전개과정
2)사회의 구조
4.남북국시대론과 신라-발해의 관계
1)남북국 시대론
2)신라-발해의 관계
2-1. 신라 중대 왕권의 전제화 과정
4-1. 신라 중대 발해관의 변천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5.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Ⅶ. 발해의 대외관계
1) 발해와 당(唐)의 관계
2) 발해와 일본(日本)의 관계
3) 발해와 신라(新羅)의 관계
2) 발해와 고려(高麗)의 관계
Ⅷ. 발해의 발전
Ⅸ. 발해의 멸망
Ⅹ. 발해사에 대한 인식
Ⅹ. 결론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07.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