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음악으로 한강 이북의 굿에서 무용반주음악으로 쓰인다. 반염불장단은 느린 (M.M.=50-60) 3분박 6박자의 18박(18/8)로 되어 있다. 장고형은 “덩-기덕/쿵덕-”으로 되어 있다. 1. 서울굿 음악의 개념과 범주
2. 굿 음악에 쓰이는 악기
3. 굿 음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13.08.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서울:국어국문학회, 1953a), 『한국음 악연구』에 재수록(서울, 1957)
, “무악연구-청수골 도당굿”『사상계』(서울:사상계사, 1955b), 3집 7호
, “별기은 고”『예술논문집』(서울:예술원, 1964), 3집, pp.124-151 『한국음악서 설』에 재수록(서울, 196
|
- 페이지 35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8.12.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음악교육)의 모형
Ⅵ. 국악교육(한국전통음악교육)의 자료제작과 활용방법
1. 우리나라의 여러 악기들 - 우리나라 악기와 연주방법
2. 장단 익히기 - 장단카드?정간보 연주방법
3. 장단익히기(인사장단, 굿 거리, 세마치, 자진모리)
4. 장단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0.10.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전반적 발달장애(자폐성 장애, 자폐증)의 의사소통
Ⅴ. 전반적 발달장애(자폐성 장애, 자폐증)의 자해행동
1. 스트레스 경감요법
2. 응벌적 자극요법
3. 약물요법
4. 체육(운동) 치료
Ⅵ. 전반적 발달장애(자폐성 장애, 자폐증)의 음악활동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음악의 이론, 서울 : 국립국악원, 1995
◇ 국립국악원, 초등학교 국악교육의 이론과 실제, 서울:국악연구실, 1990
◇ 변미혜, 초·중등 음악과 수업모형, 나도 국악을 가르칠 수 있다, 서울:풍남, 1991
◇ 송정례, 초등학교 전통음악교육중 표현영역
|
- 페이지 20페이지
- 가격 7,500원
- 등록일 2011.05.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