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다는 이러한 목표를 두고 상황에 맞추어 문법을 가르치는 편이 낫다. 따라서 필자는 문법 교수요목의 교재를 바꾸는데 동의한다. 1. 음운론
2. 문화교육론
3. 한국어학개론
4. 표현교육론
5. 이해교육론
6. 발음교육론
7. 교재론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3,700원
- 등록일 2020.05.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음운론』, 태학사, 2003.
김선영,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높임버버 지도 방안 연구』,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0. Ⅰ. 기본자음에의 경음 포함여부에 관한 논의 - 찬성의 입장에서
1. 문제 상황
2. 경음의 포함에 관한 소고
Ⅱ. 한국어 높임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3,700원
- 등록일 2018.09.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음운론의 과정
Ⅳ. 음운론의 역할
Ⅴ. 음절구조와 음소배열 제약
1. 음절화의 기준
2. 자음군의 단순화
1) 음운현상
2) 음운환경
3) 두음법칙
4) 말음중화
5) 위치동화
6) 비음동화
7) 유기음화
8) 경음화
9) 유성음화
Ⅵ. 억양음운론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9.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음운론으로 본 // 모읍 삽입(揷入)
김선철(2000)에서는 차용어 형성시의 모음(母音) 삽입(揷入)에 대하여, 한국어의 표면 음절 구조상 어두와 어말에서 자음군(子音群)이 허용되지 않는다는 내용의 표면 음성 제약(制約)과, 표면 음절 말음에 대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7.05.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자음중화의 실상, 국어학의 새로운 인식과 전개, 서울 : 민음사
○ 배주채(1989), 음절말자음과 어간말자음의 음운론, 국어연구 91
○ 박창원(1987), 15세기 국어의 음절 경계, 진단학보 64
○ 박창원(1987), 표면음성제약과 음운현상 : 고성지역어의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1.04.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