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형법총론, 제11판, 박영사, 2006.
김종원, “불능미수”, 형사법강좌Ⅱ:형법총론(하), 박영사, 1984.
김종원, “형법제27조와미수범”, 법정(1963.11).
김태명, “형법제27조(불능범)의위험성요건의독자성과구체적의미”, 형사
법연구제26호(한국형사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3.12.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형법의 궁극적인 목표 또한 남한의 공산화에 두고 있음을 깨닫는 계기가 되었다. 남북한 통일을 위해서는 사소하게 인식되었던 법 분야도 새롭게 개편되어야함을 우리 모두 인식하여야 할 것이다. 1. 형법(刑法 criminal law)의 의미
2. 북한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700원
- 등록일 2007.08.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Ⅰ. 서론
Ⅱ. 형법 제 20조에 대한 논의
1. “사회상규에 위배되지 아니하는 행위”에 대한 정의
2. “사회상규에 위배되지 아니하는 행위”의 법적 성격
Ⅲ. 형법 제 20조의 적용
1. 법령에 의한 행위
(1) 의의
(2) 법령에 의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14.06.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이래로 고의나 과실은 구성요건적 고의나 과실로 인정되어 행위불법의 중심적 개념으로 자리잡게 되었다. 행위자의 의사내용을 검토하지 않고는 행위에 대한 불법평가를 할 수 없고, 이러한 대표적 예가 미수범의 경우라고 설명된다(박상기,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05.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의미한 연명치료 중단의 형법적 문제점
(거부와 중단을 구별한다는 전제에서) 무의미한 연명치료를 거부하면 부작위에 의한 살인죄가 문제되고(제250조), 무의미한 연명치료를 중단하면 작위에 의한 살인죄가 문제될 것이다.
(제18조 → 제250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0.05.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