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생교육학의 이해과 발전연구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 87
  • 88
  • 89
  • 90
  • 91
  • 92
  • 93
  • 94
  • 95
  • 96
  • 97
  • 98
  • 99
  • 100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1. 평생학습이란
1) 학습의 시대
2) 평생학습과 평생교육
3) 평생교육의 특성
2. 평생교육의 학문적 기초
1) 철학적 기초
2) 심리학적 기초
3) 사회학적 기초
3. 평생교육의 학습이론
1) 안드라고지(Andragogy)와 페다고지(Pedagogy)
2) 자기주도학습(self-directed learning)
3) 구성주의학습
4) 전환학습(Transformative Learning)
5) 의사소통학습(Communicative Learning)

Ⅱ. 본 론
제1장. 교육기관별 평생교육의 영역
1) 지역사회중심 평생교육
2) 학교중심 평생교육
3) 기업중심 평생교육
4) 민간단체중심 평생교육
5) 문화시설중심 평생교육
6) 대중매체중심 평생교육
제2장. 평생교육의 방법론
1. 평생교육 학습자의 특성
1) 신체적 특성 및 시사점
2) 심리적 특성 및 시사점
3) 사회적 특성 및 시사점
2. 평생교육 프로그램
1)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정의와 대표모형
2)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정
3. 평생교육 학습방법
1) 학습방법의 개념
2) 개인중심 학습방법
3) 집단중심 학습방법
4) 경험중심 학습방법
제3장 평생교육 현황과 전망
1. 기관별 평생교육
1) 유네스코(UNESCO)의 평생교육
2)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평생교육
3) 유네스코와 OECD
2. 국가별 평생교육
1) 유럽연합의 평생교육
2)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평생교육
3. 우리나라의 평생교육
1) 평생교육 체제의 변화
2) 평생교육법과 제도
3) 평생교육사
4) 평생교육기관

Ⅲ.결론
1) 평생교육을 바라보는 시각
2) 평생교육의 과제

본문내용

를 위해서는 학교장의 적극적인 배려와 교사들의 협조와 이해가 필요하다. 또한 국가적인 자원의 협조와 재정적 뒷받침도 요구된다.
대학의 개방을 통해 학습자들의 교육욕구를 충족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성인 학습자들은 계속적으로 교육에 참여하고 싶어하는 기관으로 대학의 평생교육원을 들고 있다. 이러한 학습자들의 요구에 부응해 전국의 국 · 공립대학과 각종 전문대학의 기존 시설을 이용한 교육환경이 활성화되어야 한다. 이를 위한 방안으로는 첫째, 일반 정규 대학생을 위한 학부조직과 같이 시간제 학생이 일정한 대학의 교수와 학습계약을 맺고 자기주도적으로 학습을 전개해 나가는 학습계약제(learning contract)의 도입, 둘째, 성인을 대상으로 전일제 출석식 학습이 아닌 원격학습방식을 통한 대학교육과정의 이수와 학위취득, 셋째, 시민을 위한 정기적인 시민공개강좌 형태의 ‘주말대학’ 또는 ‘계절대학’ 등의 특별교육 프로그램 확대, 넷째, 사회인 이슈나 일반적인 주요 관심사를 주제로 하는 모임의 구성 및 운영을 통한 대학 내 학습동아리 모임의 확대실시 등을 들 수 있다.
(5) 문화시설을 통한 학습기회의 확대
문화활동을 중심으로 하는 평생교육시설로는 도서관, 박물관, 문화원, 청소년회관 및 각종 문화센터 등을 들 수 있다. 점차 다원화 · 고도화 되어가는 교육적 요구에 문화시설을 이용한 평생교육의 전개는 기존의 시설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고, 다각적인 교육활동이 전개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수 있다. 이러한 문화시설들은 각 시설의 특성을 살린 평생교육의 장이 되어야 한다.
먼저 도서관에서는 도서를 대출하는 단순한 업무뿐만 아니라 그 활동을 다양화 시키고, 비슷한 학습동기와 목적을 지닌 학습자들을 위한 학습동아리의 구성과 학습공간을 제공해야 하며, 도서관의 시설을 이용해 전시회나 강연회의 공간으로 활용하는 등의 다양한 학습이 이루어져야 한다. 다음으로 박물관은 단순히 골동품이나 유물을 전시하는 곳이라는 인식에서 벗어나 시민들이 자유롭게 문화제를 관람하고 더 나아가 문화를 이해할 수 있도록 문화교육을 담당하는 사회교육기관으로 자리 잡아야 한다. 특히, 전국의 많은 대학 내 박물관들은 문화적 · 학술적 유산을 많이 소장하고 있으면서 이를 일반인에게는 개방하지 않아 문화예술에 대한 교육의 기회를 제한하고 있다. 앞으로는 대학의 박물관들은 사회봉사적 차원에서 일반인에게 이를 개방하고 나아가 다양한 문화교육을 실시해야 할 것이다. 또한 박물관에는 큐레이터를 배치해 교육적 효과를 높이는 방안이 필요하다. 그 외에도 공연시설이나 공연장 · 전시장 등의 다양한 문화시설들의 교육적 활용도를 높이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6) 학원 중심의 평생교육 정비
우리나라 교육의 주체 중에서 학원은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특히 직업기술계 학원의 경우 국가 공공부문이나 시민사회가 수행해야 할 다양한 평생교육의 책임을 담당하는 기관으로 자리 잡고 있다. 이러한 학원들을 관리 및 감독의 차원을 넘어서 이들이 공공시스템과 협력할 수 있는 체제를 마련하는 일이 필요하다. 학원을 통한 교육이 ‘사교육’이라는 인식에서 벗어나 국민학습과 함께하는 동반자적 존재로 전환할 수 있는 제도적 마련이 요구된다.
(7) 평생교육사의 전문성 확보
평생교육사의 전문성은 평생교육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평생교육사는 국민의 평생학습을 촉진하는 촉매역할과 함께 구체적으로는 국민의 학습력을 신장하는 데에 있어서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국민의 기초능력표준 및 그에 대한 다양한 학력인정 시스템의 이해와 함께 대안적 교육방식을 인지하고 국가 및 지방정부 차원의 개방형 평생교육체제의 원리를 총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전문화된 교육과정이 필요하다.
참고문헌
허정무(2000). 현대사회의 노인문제와 노인복지. 서울: 협신사.
허정무(2002). 노인교육이론과 실천방법론. 서울: 양서원.
고성혜,정진희,박진규(2002). 비행소년의 생활세계. 서울특별시·자녀안심운동 서울협의회.
김종서, 황종건, 김신일, 한숭희(2002). 평생교육개론(수정판). 서울 : 교육과학사.
김종서외(1993). 평생교육원론. 서울: 교육과학사.
김주영 외(2000). 특수학교의 재구조화 방안. 국립특수교육원.
김진화, 정지웅(1997). 사회교육 프로그램개발의 이론과 실재. 서울: 교육과학사.
노종희 외(1999). 학점은행제 시범운영 분석과 발전적인 개선 방안 연구. 교육부.
노희영(2003). 노인정보화 교육의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 논문. 대전대학교 경영행정사회복지대학원, 대전.
박응희(2003). 노인교육 방법의 혁신에 관한 연구. 論文集. 제24집, 353-371.
박응희(2005). 독일대학교의 노인교육모델에 대한 고찰 :독일 사례분석과 한국에 주는 시사점을 중심으로. 比較敎育硏究. 제15권 제3호, 249-266.
박재간, 홍미령(2000). 노인교육의 현황과 과제. 老人福祉政策硏究. 18, 7-29.
신미식(2005). U3A(the university of the third age)가 한국 노인교육에 주는 시사점. 平生敎育學硏究. 제11권 제3호, 127-149.
신미식(2006). 일본노인교육의 현황, 특징, 문제점, 그리고 시사점. 한국동북아논총. 제11권 제2호 통권39집, 225-248.
신용주(2000). 노인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 모색 : 영국의 제3연령 교육 정책을 중심으로. 平生敎育學硏究. 6, 1-22.
정미라(2006). 자녀양육과 부모역할. 서울: 현학사.
정민승(2002). 사이버 공간과 평생학습. 서울: 교육과학사.
정재준; 원혜욱(2003). 청소년비행 예방을 위한 소년보호교육기관의 역할확대 및 강화방안. 서울 :한국형사정책연구원.
한정란(2000). 학교에서의 노인교육. 老人福祉政策硏究. 18, 123-170.
한정란(2003). 지역사회 중심의 노인교육정책 방향. 老人福祉政策硏究. 통권 제27호, 187-222.
한정란(2005). 노인교육의 이해. 서울: 학지사.
한정신(2005). 한국사회와 여성교육. 서울:숙명여자대학교출판부.
  • 가격3,500
  • 페이지수100페이지
  • 등록일2008.03.22
  • 저작시기2008.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5678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