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교육과 학교제도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머리말

Ⅱ.문학교육의 位相과 目標

Ⅲ. 학교제도 현황에 따른 문학교육상의 문제

Ⅳ. 문학교육 수행자의 할 일 (맺는 말)

본문내용

혼자서 문학작품을 읽는 것보다 학교 제도가 만들어준 소정의 집단에서 여럿이 함께 감상할 때, 때로는 더 효과적일 수도 있는 것이다. 왜냐하면 서로 다양한 감상 결과를 학생 간의 상호작용에 의해 나눔으로써, 각자의 문학 감수 영역을 더욱 깊이고 넓힐 수 있겠기 때문이다. 다만 이런 순기능을 좀더 확장시키려면 학생 간의 원활한 상호 작용을 다양하게 활성화시키도록 하는 여러 전략(방략)과 프로그램을 계발할 필요가 있다.
이상의 지향점은 문학 교육의 내용물인 정전에 대하여 열린 관점을 갖자는 것과, 학습자를 중시하고 상호작용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교수·학습 방법을 모색하자는 것으로 요약할 수 있는데, 이런 지향점은 요즘 교육계 일각에서 일고 있는 대안학교 운동과도 통한다. 그리고 나아가, 초등학교에서 요원의 불길로 일어나는 열린교육의 기본 바탕과 일맥상통하는 면이 엿보인다. 대안학교는 기존의 학교 제도가 보이는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제시된 것이라 현재로서는 다소 막연하고 묘연한 면이 엿보인다. 그러나 열린교육 운동은 기존의 학교체제 속에서도 학습자의 개성을 존중하고 상호작용성을 강화시키며 우리가 추구하는 이상적인 문학교육을 실현시키기 위한 대안을 제시하려한다는 점에서 그 의미를 찾을 수 있다. 그리고 이런 열린 교육 운동의 시점에서, 문학교육을 통해 전 교과를 통합 운영하도록하는 교육을 시도하는데로 나아갈 수도 있다. 또한 문학을 통합 교육과정 운영의 중심부에 놓고, 문학을 통해 학교와 가정과 사회를 통합하는 주체로서 문학교육을 구상해볼 만도 하다. 이상의 노력이야말로 문학교육을 수행하는 입장에서, 학교제도의 역기능의 폐단에만 책임을 전가한 채 안이한 자세로 남는 대신 좀더 긍정적으로 문학 교육을 진척시키는 힘을 키워가는 건설적인 길이라고 본다.
이러한 개선책과 지향점에 대한 좀더 구체적인 논의는 후고로 미루기로 하고, 본고에서는 다만 이들을 제언 형태로만 거론하여 맺음말을 대신하는 것으로 그친다.
<참고문헌>
구인환 외, 『문학교육론』, 삼지원, 1988.
김영천, 『네 학교 이야기 - 한국초등학교의 교실생활과 수업-』, 문음사, 1997.
김은전, 「국어교육과 문학교육」, 『사대논총』제 19집, 서울대 사범대학, 1979.
정동화 외. 『국어과 교육론』, 선일문화사, 1984.
鄭在贊.「現代詩 敎育의 支配的 談論에 관한 硏究」,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대학원, 1996.
최현섬 외, 『국어교육학 개론』, 삼지원, 1996.
William Glasser, 이재신 역, 『실패없는 학교』, 교육과학사, 1986.
Abstract
Literature Education and School System
Shin, Heon-Jae
The purpose of this article was to explore the relation of literature education and school system. Through this process, I wanted to find out the inclination point of literature education in school system.
The goals of literature education from many existing studies are five as follow: the extention of literary culture, the development of imagination ability, the holistic understanding of life and world, the fostering of aesthetic emotion, the understanding and acquirement of national identity.
But, these goals have been difficult to accomplished. Because our school system has heterogenous property on this goals. The property of school system is summaried as follow: ① School system emphasizes the value of respect, ② School system emphasizes the obiligation, ③ School system emphasizes sexual distinction.
In addition, I intended to indicate the problems in process of canon selection and reading methods. The selection of canon has gone after susceptibly hegemonic discourse. So student could not acquire a critical view. Also New Criticism make student to read literary text with passive and conservative methods.
Finally, I suggested literture education specialists should have interest in following points.
1. We must diversify and modernize literary texts so that canon may not be stagnant.
2. We must manage literature education curriculum from the viewpoint of emphasis on learners.
3. We must reinforce interaction among learners in instructional context.
In brief this study focuses on the relation of literature education and school system. These prerequisites should be overcome and more effort is needed on more approachs from different points of view.
  • 가격1,3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2.07.21
  • 저작시기2002.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891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