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의성 및 열린교육 관점에서의 실과교육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창의성

Ⅲ. 열린교육

Ⅳ. 창의성과 열린교육

Ⅴ. 창의성과 열린 실과교육

Ⅵ. 결 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길형석(1993). 열린교육에서의 협력학습. 한국교육학회 교육철학연구회. 교육철학, 11호 238-239
김 건 (1971). 창의성 개발에 관한 연구. 학술지(사회과학편) 14. 건국대학교.
김대현, 허승희, 황희숙, 김광휘, 이영만(1998). 열린 수업의 이론과 실제. 서울: 지학사
김선희(1994). 열린교육의 한국적 적용.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성식 (1992), 개방교육 교수방법의 적용과 그 효과.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윤태 외 (1965). 교육심리사전. 서울: 배영사.
김인근(1996). 실과 열린교육을 위한 교수-학습자료의 개발연구-'전자키트 만들기' 단원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정휘, 주영숙 (1989). 교육심리학탐구. 대구: 형설출판사.
김충희외 1인 (1969). 창의력 증진을 위한 실험 연구. 교육학연구, 제6권 제2호. 서울:한국교육학회.
대구광역시초등실과교육연구회(1998). 실과 문제해결학습 수업모형 탐색과 적용방안. 실과교육연구회 운영보고서.
박인숙 (1993). 개방교육이 아동의 자기표현과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연합회, 현장 연구논문.
서영진 (1982). 가정환경요인과 창의성 발달과의 관계.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1994). 교육학 용어사전. 서울: 도서출판 하우.
손용의 외 2인 (1995). 열린교육의 이론과 실제. 대구: 형설출판사.
신태진(1995). 열린교육의 원리와 그 교육적 가치.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안범희 (1977). 창의성의 성격적 요인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은용기 (1992). 열린학교 열린교육. 서울: 대한교과서주식회사.
이대균 (1990). 교수·학습 개별화를 위한 일 연구. -개방교육 중심으로-. 한국교육논집, 제2집.
이무근(1999). 21세기 지식기반 사회 구현을 위한 직업교육의 방향과 전망.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지식 기반 사회의HRD전략과 평생직업교육 체제 구축과제' 정책포럼. 1-40.
이영만 (1992). de Bono의 사고교육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창의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신근 (1994). 열린 교실에서의 수업기술. 전국 열린교실 연구응용학회지, 제2집 제2호, 161-166.
이희승 (1961). 국어대사전. 서울: 민중서관.
임규혁 (1996). 교육심리학. 서울: 학지사.
임선하 (1993). 창의성의 초대. 서울: 배영사.
장정순 (1996). 열린교육 시행학교 아동과 일반학교 아동간의 창의성 비교연구.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정동화 (1984). 창의성이 학교 학습 및 성격과 갖는 상관성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전세경 (1997). 창의력 계발을 위한 실과 교수-학습에 대한 연구, -간단한 바느질하기 단원을 중심으로-. 한국실과교육학회지, 제10권 제2호, 한국실과교육학회.
정미경 (1997). 초등학생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실과교육지도방안. 한국실과교육학회지, 제10권 제2호, 한국실과교육학회.
조효숙 (1994). 국민학교에서 열린 실과 교육경험이 중학교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허정자. 김인근(1997). 열린 실과 교육과정의 적용방안. 한국실과교육학회지 제 10권 1호. 11-32.
Evans, E. (1971). Contemporary influences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New York: Holt, Reinhart and Winston.
Getzels, J. W. & Jackson, P. W.(1962). Creativity and intelligence. New York: Wiley.
Guilford, J. P. (1986). Creative talents. New York: Bearly Limited.
Horowitz, R. A. (1979). Psycological effects of the "open classroom".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49, 71-86.
Morrison, G. S. (1980). Early childhood education today. Ohio: Charles E. Merrill Publishing Company.
Nyquist, E. B. (1972). Open education. New York: Bantam Books.
Parnes, S. (1971). The magic of your mind. New york, Buffalo: Creative Education Foundation Inc.
Parnes, Sidney(1992). Sourcebook for creative problem solving. New York, Buffalo: Creative Education Foundation Press.
Peterson, P. L. (1979). Direct instruction reconsidered. In P. L. Peterson & H. L. Walberg(Eds.) Research on teaching. California: McCutchhan.
Rothenberg, J. (1989). The open classroom reconsidered. The Elementary School Journal, 90(1), 69-86.
Stephens, L. S. 신옥순·유혜령 역 (1996). 유아를 위한 개방교육의 이론과 실제. 서울: 창지사.
Torrance, E. P. (1962). Guiding Creativity Talent. New Delhi: Prentice-Hall of India Private Limited
Treffinger, D. J., & Elwell, P. A. (1993). CPS for teens: Classroom activities for teaching creative problem solving. Waco, Texas: Prufrock Press.
  • 가격2,3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02.10.27
  • 저작시기200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846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