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연봉제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 론
1. 연봉제란
2. 연봉제 필요성

Ⅱ. 연봉제 도입의 이론적 배경과 장단점
1. 연봉제의 이론적 배경
2. 연봉제의 특징
3. 연봉제의 구성
4. 연봉제 도입의 장단점

Ⅲ. 각국의 연봉제 운영방식
1. 미국의 연봉제
2. 일본의 연봉제
3. 독일의 연봉제

IV. 한국형의 연봉제
1. 연봉제 운영 실태와 성공방안
2. 연봉제에 대한 근로자 의식구조
3. 우리 기업의 연봉제도의 평과와 과제

Ⅴ. 결론

Ⅵ. 참고 문헌

본문내용

원인으로는 평가의 부적절성이 가장 많았다 .이를 해결하고 연봉제가 실시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공정하고 객관적인 평가
시스템의 정립이 선결되어야 할 것이다 .
둘째 ,연봉제는 관리직을 중심으로 도입하는 기업이 많으며 관리직에서 연봉제 실시에 따른 효과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연봉제를 도입하려는 기업의 50%이상이 관리직에 이를 적용하려 하고 있다 .연봉제를 관리직부터 도입하는 것은 연봉제의 단점으로 지적되는 팀웍 분산과 과다한 경쟁심을 해소하는 데도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셋째 ,연봉제는 근로자의 참여 의욕을 향상시키고 구체적인 업무목표에 대한 인식을 명확하게 하는 등 근로자의 일에 대한 동기를 높이는데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인 업무수행 실적 향상에 대해 70%이상이 변화가 있었다고 응답했으며 자신이 해야 할 일과 목표에 대한 인식도 커졌다는 응답이 70%를 넘었다 .또 관리자로서의 역할 및 인식도 60%이상이 향상되었다고 느꼈다 .연봉제는 근로자의 일에 대한 동기 유발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넷째 ,연봉제는 개인적인 업무수행 능력의 향상과 조직 풍토의 전반적인 개선에 있어서는 초기에 큰 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연봉제가 조직풍토 개선 및 업무수행 능력 향상 등 전반적인 성과에 미친 효과에 대해 그저 그렇다 는 응답이 많았으며 개인적 업무수행 능력의 향상에 있어서도 절반 가까이가 보통이라고 답해 개인의 업무수행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는 연봉제 실시만으로 한계가 있음을 보여 줬다 . 외국의 연봉제 실시 사례를 보면 미국에서는 관리직 ,전문직 ,기술직 등 화이트칼라를 대상으로 연봉제가 발달했다 .미국 민간기업의 95%는 고과급 방식을 이용해 연봉인상액을 결정하고 있는데 이는 해당 직원과 상급자가 일정한 기간 중에 달성한 목표를 설정하고 그 기간이 지난후 목표들이 달성된 정도에 따라 업무수행 실적을 평가하는 방식이다 .평가주기는 1 년이 대부분으로 약 90%가 1 년에 1 회 정기적으로 업무수행 정도를 평가하고 이에 상응하는 연봉 인상률을 결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에서는 소니사가 1969 년 관리직에 대해 연봉제를 실시한 이후 매년 실시기업과 적용대상이 확대돼 1994 년에는 14.6%로 늘어났다 .연봉제는 주로 관리직과 전문직을 대상으로 실시되고 있다 .연봉제 실시 내용을 보면 별도의 수당이 없는 순수한 연봉제를 실시하는 기업은 적고 대부분 수당을 지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봉제 지급 방법은 연봉을 16 등분 또는 18 등분해 매달 지급하면서 2 - 3 개월마다 상여금 형태로 지급하는 방식이 대부분이다 .순수연봉제라기보다는 개별성과에 따른 차별화 정도가 큰 상여금 제도를 실시하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실태조사 결과를 근거로 바람직한 연봉제 도입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
첫째 ,연봉제가 정착되려면 근로자의 능력 ,성과 ,태도 등에 대한 객관적이고 공정한 평가의 문제가 해결되어야 한다 .능력에 상응하는 보상체계로서의 연봉제는 평가의 공정성을 전제로 한다 .특히 인사고과에 대한 고질적인 불신이 있으므로 이를 해소해야만 연봉제가 긍정적인 효과를 거둘 수 있다 .
둘째 ,연봉제를 실시할 경우 우선은 직급내 경쟁 이 되도록 하고 연봉 차등 폭은 5- 10%정도를 한 후 점차 확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봉제가 어느 정도 정착되면 차등폭을 늘임으로써 직급간 경쟁 도 일어나도록 한다 .
셋째 ,연봉제의 적용대상은 관리직과 전문직부터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관리직과 전문직은 업무의 양보다 업무의 질이 더욱 중요하다 .반면 생산직과 일반 사무직은 일단 직능급을 도입 , 2 원화 보상체계를 적용한 후 점차 순수한 연봉제로 발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
넷째 ,연봉 지급방법은 연봉을 16 등분해 매월 16 분의 1 을 지급하고 나머지 16 분의 4 는 분기별로 상여금 형태로 지급하는 것이 연봉제 도입에 따른 부작용을 막을 수 있다 .또 연봉제를 도입하려는 기업은 연봉제의 구조를 기본 연봉만 할 것인지 성과급을 추가로 지급할 것인지를 먼저 결정해야 하는데 동기유발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성과급의 도입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성가급의 지급폭은 연봉의 5 - 10%범위내에서 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초기에는 이와 같은 한국형 연봉제를 적용하는 것이 長幼有序의 유교적 전통과 溫情主義가 만연한 우리의 기업 풍토에서 연봉제를 성공적으로 도입하는 비결이 될 것이다
Ⅵ. 참고 문헌
참고 자료
김강식 (1994),독일 기업의 최초 연봉제의 동행 ,경총임금연구
김동원 (1994),미국 기업의 최초 연봉제 동행
김영한 (1995),우리 나라 기업의 연봉제 도입의 대응전략 ,원광대학교 석사
학위 논문
경상연구 (1996),한국 기업의 연봉제 도입에 관한 소고 ,호남대 경영경제연구원
매일경제 (1991),「기업경쟁력 강화를 위해 연봉제 필요 」
박경규 (1999),「한국기업의 연봉제 설계방안 」,대한상공회의소 한국경영 연
구센터
신정식 (1999),「한국형 연봉제 」,한국능률협회
신철우 (1996),성공적인 연봉제의 도입방안 ,청주대학교 산업경영연구소
안희탁 (1997),한국기업의 연봉제 도입실태와 개선방안 ,한국인사관리협회
안희탁 (1998),「연봉제 설계 ,연봉제 도입 및 운용 실무과정 」,한국경영자 총
협의회
양병무 ,박준성 ,김재원 (1992),한국 기업의 임금관리 ,한국경영자총협회
양병무 (1994),연봉제 도입실태와 문제점 및 개선방안 ,임금연구
양병무 (1998),연봉제의 이론과 사례
오세호 (1995),연봉제 임금체계 도입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참고 사이트
http://www.riss4u.net
http://www.dreamsearchkorea.com
http://www.molab.go.kr
http://www.saehan21.com
http://www.nomusa21.co.kr
http://www.webfriend.pe.kr
http://www.doosan.com/
http://www.myangel.co.kr/
http://provin.kyonggi.kr/ind/ind_supp_2_5.html
  • 가격3,000
  • 페이지수33페이지
  • 등록일2006.06.16
  • 저작시기2002.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5501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