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통일 전후, 통일신라, 발해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삼국통일 전후, 통일신라, 발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삼국통일 [三國統一]
1. 삼국통일
2. 삼국통일의 전후 상황
⑴ 삼국통일 이전의 국내외적 정세
⑵ 삼국통일의 과정
① 백제의 멸망
② 고구려의 멸망
③ 나당전쟁
⑶ 삼국통일의 의의

Ⅱ. 통일신라
1. 통일신라
⑴ 전제 왕권의 강화 ; 귀족 세력의 억압, 왕권 중심의 중앙 집권 정비
⑵ 사회 ․ 경제 생활
⑶ 해상 무역
⑷ 유학
⑸ 불교 ; 국민의 의식 수준과 학문 발달에 기여
⑹ 과학 기술
⑺ 예 술 ; 귀족 생활과 불교 신앙을 중심으로 발전
2. 생활상
⑴ 의생활
① 귀족 여자
② 귀족 남자
③ 왕복
④ 왕비복
⑵ 식생활
⑶ 주생활
3. 유물 ․ 유적
⑴ 토기 ; 통일신라시대 토기의 전반적인 변화
⑵ 성덕대왕신종(에밀레종) [聖德大王神鍾]
⑶ 상원사 동종 [上院寺銅鍾]
⑷ 불국사 [佛國寺]
① 불국사
② 다보탑
③ 석가탑 [불국사삼층석탑 (佛國寺三層石塔)]
⑸ 석굴암 석굴
⑹ 무구정광대다라니경
⑺ 감은사지 삼층석탑

Ⅲ. 발해 [渤海]
1. 발해
2. 발해의 건국과 발전, 멸망
⑴ 발해 건국과정
⑵ 발전
⑶ 멸망
⑷ 발해의 역사적 의의
3. 발해 문화
4. 대외 관계
⑴ 일본과의 관계
⑵ 신라와의 관계
⑶ 고려와의 관계
5. 유물 ․ 유적지
⑴ 거산성
⑵ 발해 석등
⑶ 정혜공주 묘비
⑷ 육정산 고분군
⑸ 정효공주 묘비
⑹ 그 외 유물 ․ 유적

본문내용

로 팔각지붕을 이었다. 이것은 팔각정자와 그 모습이 거의
비슷한데 상경 궁전 정원의 팔각 정자를 돌로 조각한 듯한 느낌을 주고 있다.
구도에서는 안정감을 보이면서 균형 있는 모습을 하고 있다.
⑶ 정혜공주 묘비
정혜공주는 발해 3대 문왕의 둘째 딸로서, 737년에 태어나 777년 4월에 40세의 나이로 죽었다. 이 묘비는
1949년 발굴시에 무덤 안에서 7조각으로 깨진 채 발견
되었다. 화강암으로 만들어졌으며, 위가 뾰족하고 아래
는 네모진 규형이다. 크기는 높이 90cm, 너비 49cm,
두께 29cm이다. 현재 지린성 창춘 지린성 박물관에 소
장되어 있다. 비문은 21행 725자로 그 중 491자는 명확
하게 판독할 수 있었고, 나머지는 1980년 정효공주 묘
비가 발견됨에 따라 모두 보충할 수 있었다. 비문은 전
형적인 변려체 문장으로 13행의 서문과 6행의 명문, 마
지막 행의 비석을 세운 연월일 기록으로 구성되어 있다.
묘비는 정효공주의 것과 함께 발해사의 재구성에 있어
아주 진귀한 사료이다. 이 묘비가 발견됨에 따라 육정산
고분군이 발해 초기의 왕실, 귀족들이 매장된 곳이라는
사실이 확인되었고, 초기 도읍지였던 동모산 지역이 바
로 둔화시 일대라는 것이 확정되었다. 또 문헌 기록에는 없는 발해 문왕 때의 몇 가지 역사적 사실들, 즉 문왕의 존호와 연호 등을 알 수 있었는데, 특히 존호에 ‘금륜성법’을 덧붙인 것은 무왕이 불교의 전륜성왕을 군주의 이상상으로 하였음을 알려주는 것이다. 또 비문에 의하면 공주는 3년 장으로 치러졌는데, 이는 고구려의 3년장 전통을 이어받은 것으로 생각된다.
⑷ 육정산 고분군
무덤 규모와 껴묻거리 내용으로 볼 때, 발해 초기의 왕실귀족묘지로 추정된다. 육정산은 동서로 연이은 6개의 봉우리로 이루어졌고 그 가운데 서쪽에서 2번째 것이 주봉으로 해발 603m이다. 주봉에서 동남쪽으로 뻗어나간 능선의 동서 양쪽에는 남향의 오목한 평지가 한 곳씩 있으며, 이들 평지에 모두 80여 기에 이르는 발해 봉토무덤이 무리지어 있다. 무덤 떼는 북으로 육정산을 등지고 남으로는 넓고 비옥한 무단 강 충적평야를 바라보는 곳에 자리 잡고 있다. 무덤 떼의 북쪽 10㎞ 지점에는 발해 초기의 도읍지로 전해지는 오동산성이 있다. 무덤 떼 가운데 서쪽의 무덤 떼를 제1묘구, 동쪽의 무덤 떼를 제2묘구라고 부른다. 30여 기로 이루어진 제1묘구의 무덤 떼 가운데 산굽이 중부에 모여 있는 무덤 떼는 규모가 큰 반면 산굽이 위쪽에서 산허리에 걸쳐 있는 무덤 떼는 규모가 작다. 제1묘구의 대형봉토무덤 떼는 대개 돌방무덤이며 이 가운데는 발해 제2대 무왕 대무예의 무덤으로 추정되는 진릉과 발해 제3대 문왕 대흠무의 둘째 딸 정혜공주묘가 포함되어 있다. 정혜공주 묘에서는 묘비와 돌사자 2기가 출토되어 발해역사를 밝히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되었다. 묘비문을 통해 발해 문왕의 존호, 발해왕실의 불교신앙, 정혜공주의 행장, 육정산 고분군의 성격, 발해 초기의 한문학 수준과 장례방식 등에 대해 상세히 알게 되었다. 현재까지 제1묘구에서 발굴된 15기의 무덤을 묘제별로 보면 돌방무덤 10기, 돌덧널무덤 1기, 널무덤 4기로 돌방무덤이 다수를 차지한다. 제2묘구의 무덤은 약 50여 기인데, 오목한 평지에 집중되어 있어 무덤 간의 거리가 2~3m에 불과하다. 발굴된 16기의 무덤 중 돌방무덤은 2기에 불과한 반면 돌덧널무덤은 14기에 이른다. 육정산 고분군은 발해 초기의 묘제와 장례관습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유적이다.
⑸ 정효공주 묘비
중국 지린성[吉林省] 허룽현[和龍縣] 룽수이향[龍水鄕] 룽하이촌[龍海村] 서쪽 룽터우산[龍頭山]에 있는 발해 문왕(文王)의 넷째 딸 정효공주의 무덤에서 발견된 묘비.
높이는 105㎝, 너비는 58㎝, 두께는 26㎝이다. 1980년 10월부터 이듬해 6월까지 두 차례에 걸쳐 정효공주묘를 발굴할 때 무덤 안길(널길)에서 발견되었다. 정효공주는 발해 문왕(文王)의 넷째 딸로, 757년(문왕 22)에 태어나 792년 36세의 나이로 죽었다.
묘비에는 모두 728자(字)가 18행에 걸쳐 해서체로 음각(陰刻)되어 있다. 보존 상태가 거의 완벽해 일부 글자를 빼고는 모든 글자의 판독이 가능하다. 내용은 서문(序文)과 명문(銘文)으로 이루어져 있다. 서문에는 정효공주의 출신, 품성과 용모, 지혜, 출가 및 부부 생활, 남편과 어린 딸의 죽음, 남편 사후의 수절, 죽음 및 장례에 관한 내용 등이 기록되어 있다. 명문에는 문왕의 어진 정치, 공주의 아름다움과 슬기로움, 행복한 결혼생활, 남편 사후의 정절, 공주의 죽음, 애도 등과 관련된 6가지 명문이 새겨져 있다.
묘지(墓誌)에는 문왕의 존호가 '대흥보력효감금륜성법대왕(大興寶曆孝感金輪聖法大王)'으로 되어 있어, 문왕이 불교의 이상적인 제왕인 전륜성왕(轉輪聖王)을 자처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발해가 그만큼 세력이 강한 국가였음을 알려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또 "황상은 조회를 파하고 크게 슬퍼하여(皇上罷朝興慟)"라는 글이 있는 것으로 미루어, 발해에서는 문왕을 중국의 황제와 동등한 자격으로 인정했음을 알 수 있다.
이 묘지의 발견으로 777년에 죽은 정혜공주(貞惠公主)의 묘(1949년 발굴)에서 발견된 묘지도 해석할 수 있게 되었다. 그 밖에 문왕 때 연호를 대흥에서 보력, 보력에서 다시 대흥으로 바꾼 사실을 통해 문왕대의 발해 정치 상황을 엿볼 수 있는 등 우리 역사상 공백기로 남아 있는 발해 역사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고 있다.
중국 지린성[吉林省] 허룽현[和龍縣] 룽수이향[龍水鄕] 룽하이촌[龍海村] 서쪽 룽터우산[龍頭山] 발해고분군에 있다.
⑹ 그 외 유물 유적
* 출처
- 네이버 지식 in, 백과사전, 오픈사전
- 책 「다시 찾는 우리역사」
- 고등학교 국사 교과서
- 블로그 「통일신라의 주거건축」http://blog.naver.com/burigb?Redirect=Log&logNo=100030558014
- 네이버 카페 「통일신라의 발전」
http://cafe.naver.com/10040601.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331

추천자료

  • 가격3,0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06.12.07
  • 저작시기2006.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8122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