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영화에 대한 모든 것 (2007년 추천 우수 레포트 선정)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북한영화에 대한 모든 것 (2007년 추천 우수 레포트 선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북한영화의 이해

2. 북한영화의 흐름

3. 북한영화의 특성

4. 북한영화의 종류
1. 기록영화
2. 예술영화
3. 과학영화
4. 아동영화

5. 북한 영화에 반드시 들어가는 요소
1. 혁명적 수령관
2. 사회주의 대가정론
3. 정치사회적 생명체론

6. 북한영화의 인물의 성격

7. 대표적은 북한영화 집중탐구
1. 소금
2. 꽃 파는 처녀

참고문헌

본문내용

망을 건다. 최순은 돈을 벌기 위해 두만강을 건너 소금밀매를 시작한다. 그러나 중도에 일본군의 습격을 받는다. 이 때 항일유격대와 공산당이 나타나 최순 일행을 구출해 준다. 그리고 최순은 아들이 유격대원으로 싸우고 있다는 소식을 듣게 된다. 이 사건들을 통해서 최순은 자신들을 괴롭혀 왔던 것이 공산당이 아니라 왜 놈들이었다는 것을 깨닫고, 자기의 아들을 이해하지 못했던 것을 크게 깨닫는다. 그리고 앞으로는 소금처럼 쓸모 있는 삶을 살아가자고 결심한다.
소금이 영화로 만들어진 시기는 1985년으로, 분류는 예술영화에 속한다. 그리고 여기서 최순의 역할을 맡았던 최은희라는 여배우는 85년 모스크바영화제에서 연기상을 수상하였다. 이 영화는 북한의 다른 영화들과는 달리 과도하게 김일성을 부각하지 않았고, 구성과 묘사가 비교적 사실적이다. 그러나 북한의 여느 영화처럼 공산당을 찬양하고 혁명만이 자신들을 어려움 속에서 구해 줄 수 있다는 메시지를 담고 있다. 또, 지주를 부정적으로 묘사해 사유재산을 소유하는 것에 대해 부정적인 생각을 갖게 하고 있다.
2) ‘꽃 파는 처녀’
→순이가 오빠를 찾아 떠난 꽃분이를 기다리 는 장면으로 미학적 완성도가 높은 장면
김일성이 1930년 연극으로 만들었던 것을 1972년 김정일의 지도하에 혁명가극으로 각색되어 재 창작된 작품이다. 북한이 내세우는 5대 혁명가극,《피바다》《꽃파는 처녀》《당의 참된 딸》《밀림아 이야기하라》《금강산의 노래》의 하나로 《피바다》를 연출했던 김영희가 연출했다.
영화의 배경은 1920년대 말 ~ 1930년대 초로 나라 잃은 민족의 설움과 착취와 압박을 받는 근로인민의 고통과 그로부터 벗 어 나기위한 그들의 투쟁문제를 다루고 있다.
가난한 고용농민의 딸인 꽃분이와 그 일가의피눈물 나는 생활을 보여준다. 꽃분이의 어머니는 배지주집 종이었다. 꽃분이의 동생은 어릴 때 배지주의 처가 던진 약탕관에 의해 눈이 멀고, 오빠는 이에 분노해 배지주네에 불을 질렀다가 일제 경찰에 잡혀갔다. 병든 어머니는 딸이 자신처럼 종의 신세가 되지 않기 위해 배지주네 노역을 감당한다. 어머니는 배지주에게 맞은 것이 화근이 되어, 꽃분이가 어머니 약을 지어서 오는 날 결국 숨을 거둔다.
꽃분이는 서울의 감옥에 있는 오빠를 찾아 천리 길을 떠났지만 일본 순사에게서 오빠가 죽었다는 말을 듣는다. 다시 돌아온 마을에서는 동생 순희가 배지주네에 이끌려 죽음을 당했다는 얘기를 듣는다. 배지주네 집에 꽃분이가 잡혀있는 사이, 꽃분의 오빠 철용은 목숨을 건진 순희를 찾아 집에 온다. 철용과 함께 순희를 찾고 배지주네를 치기 위해 왔던 마을 사람들은 배지주네를 치는 것뿐만 아니라 일제와 싸워야 이길 수 있다는 철용의 연설에 감동해 나선다. 다시 꽃을 팔러 나선 꽃분이는 마을 각지를 돌며 볼쉐위크, 농우 등을 전해주는 혁명의 전령사가 된다.
영화에서 주목할 점은 일제의 폭압을 부정적으로 묘사했다는 것이다. 꽃분이가 어머니의 병을 고치기 위해 나서지만 그 과정에서 배지주네와 일제 경찰이 어떻게 폭압을 가하는지 보게 되면서 일제의 폭압을 부정적으로 나타냈다. 배지주네가 수시로 일제 경찰과 만나 잔치를 즐기는 모습이나, 철용이가 일제 경찰에 의해 잡혀가는 것, 철용이를 만나러 떠난 길에 보았던 철도공사장의 조선인 노동자들이 당하는 폭압 등은 일제 치하우리 민족의 적이 일제와 지주임을 폭로한다.
또, 지주에 대해서도 부정적으로 묘사하고 있는데 꽃분이가 순희의 죽음을 계기로 불행의 원인이 일제와 그에 빌붙어 사는 자본가와 지주에게 있다는 것을 똑똑히 보게 되는 장면에서 그에 대해 알 수 있다.
항일투쟁시기 만들어져 공연되었다는 연극「꽃파는 처녀」는 일제시대 우리 민족이 처한 상황과 이를 해결할 방도를 명확히 보여줬다는 평가를 받았다. 별다른 선전 방식이 없었던 시대, 연극이 주는 파장은 상상 이상이었다. 영화 또한 마찬가지여서, 지금도 이북에서는 <꽃파는 처녀>를 최고의 명작으로 꼽고 있다. <꽃파는 처녀>는 1949년 포문을 연이북영화가 1970년대 이북영화 전성기의 첫 걸음이자 상징 같은영화다. 이북은 <피바다>로부터 시작하여 <꽃파는 처녀>, <한 자위단원의 운명> 등 항일혁명예술을 영화화하면서 이북영화의 ‘혁명전통’을 세우고 영화예술이론의 바탕을 마련했다.
참고문헌
유동희,『북한영화자료집 上』, 문화방송, 1996.
통일부,『북한영화분석』, 통일부, 2001.
강경애,『소금』,북토피아, 2000.
서정남 『북한영화탐사』,생각의 나무, 2002.

추천자료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7.03.06
  • 저작시기2007.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796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