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 임상의학의 역사적 형성과정과 담론해석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목 차 ]
1. 문제제기

2. 근대의학 도입 이전에 서양의학을 소개한 책들

3. 프랑스 혁명사의 역사적 관점

4. 근대 임상의학 태동과정에 대한 역사적 연구의 방법론

5. 푸코(Michel Foucault)의 근본적인 문제의식

6. 새로운 의학적 담론: 푸코의 방법론

7. 푸코에 대한 비판

8. 근대 임상의학의 태동과정: 행위와 구조
1) 철학
2) 혁명과 전쟁
3) 1794년 이후
4) 비샤(Marie F. Xavier Bichat, 1771-1802)

9. 푸코와 의학적 담론
1) 새로운 의학적 의식
2) 제도로서의 la clinique
3) 해부학적 임상의학

10. 개념의 역사로서의 근대 서양의학

11. 근대 임상의학 형성에 관한 위생의학(hygienic medicine)과의 상관성

본문내용

Starr)가 명쾌하게 보여주듯이,
. Starr, P. The Social Transformation of American Medicine. New York: Basic Books, 1982: 13-14
의학 및 의사의 전문화를 논할 때면 반드시 설명되어야 할 중심적인 개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프랑스 의학 및 의사의 전문화를 다루고 있는 람세이의 연구에서 권위라는 개념이 논의되고 있지 않는 것은 어떻게 이해되어야 할까.
여기서 말하고자 하는 것은 권위라는 개념이 역사학적으로나 사회학적으로 중요하기 때문에 이 개념이 근대 임상의학의 형성을 분석하는 데 있어서 반드시 방법론적으로 검토되어야한다는 뜻이 아니다. 역사학자가 근대 임상의학의 형성과정에 대한 연구방법론을 행위나 구조에 의존하든 아니면 담론의 분석을 지향하든 그것은 그들의 선택에 달렸다. 그러나 역사학자들이 반드시 밝혀야 할 역사적 사실은 세기의 전환기에 새로이 등장한 임상의학을 구체적으로 병원(진료실)이라는 공간에서 환자에게 '말하는'(진료행위를 실천하는) 사람은 누구이며 이들은 어떤 명분과 정당성에 근거하고 있는가하는 점이다.
. 푸코는 이러한 문제의 중요성을 이해했으나 권위의 개념을 단순히 사회적 지위의 문제로 단순화시키고 있다. Foucault(주 12). op.cit. 50-51
권위에 대한 스타의 개념적 논의는 바로 이러한 문제에 대하여 명료한 해결의 실마리를 제공해준다. 스타는 사회적 권위와 문화적 권위를 예리하게 구분하고 있는데 이러한 논의가 가지는 설명력은 매우 광범위하다. 아커크네히트는 아주 모호하게 설명하고 있으며 푸코의 논리를 따르자면 1816년의 체열에 대한 브루세이의 원리- 이는 스타의 표현을 따르면 문화적 권위에 해당한다 -가 발표되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우리는 1820년대에 브루세이의 정치적 위상이 (아마도 문화적 권위때문에) 파리사회에서 상당히 상승되었음- 이는 사회적 권위에 해당한다 -을 알고 있다. 이러한 이유때문에 개념에 기반한 연구방법론을 적용한 스타의 미국의료사에 대한 역사사회학적 연구는 이 글의 주제에 적합한 연구방법론으로 적극적으로 검토될 필요가 있다.
주지하다시피 캉귀옘(G. Canguilhem)은 푸코의 박사학위 논문을 지도한 스승이다. 따라서 푸코가 캉귀옘으로부터 개념의 역사가 과학사 연구의 방법론에서 지니는 의미를 터득하게 됨은 당연한 일이다. 사실 푸코는 The Birth of the Clinic에서 캉귀옘의 개념의 역사를 그대로 받아들이고 있다.
. Gutting. op.cit. 54
푸코는 캉귀옘의 主著인 The Normal and the Pathological
. Canguilhem, G. The Normal and the Pathological. New York: Zone Books, 1978. 원저는 1966년에 출간
의 서문에서 개념의 역사가 지니는 의미를 설명하고 있다. 푸코에 의하면 캉귀옘은 과학사를 뉴턴의 물리학이나 갈릴레이의 역학과 같은 영역으로부터 지식체계가 보다 덜 연역적인 영역(예: 생물학)이나 경제적이고 제도적인 영향을 받는 영역(예: 의학)으로 과학사의 영역을 확장시켰다.
. ibid. 13
캉귀옘의 근대 임상의학의 형성과정에 대한 이해는 철저히 개념적이다. 예를 들어 그는 서구 임상의학의 근대성을 기본적으로 생명이 정상적인 것과 병리적으로 이분화되는 것이라고 파악한다. 이러한 논제를 설명하기 위하여 그는 브루세이 원칙- 병리적 상태(질병)는 정상적 상태(건강)가 단순히 양적으로 변화한 것에 불과하다 -을 비판하면서 아울러 브루세이의 원칙에 입각하여 의학이론을 전개한 베르나르(Claude Bernard)와 실증주의 사회학을 주창한 콩트(Auguste Comte)의 논의를 반박하고 있다.
. ibid. 47-90
서양의학의 근대성이 확립되어 가는 과정은 18세기말까지 철학과 결합되어 있던 의학- 윌리암스가 말하는 철학적 의학 -이 철학과 결별하게 되는 과정을 의미한다. 따라서 근대 임상의학의 형성과정에 대한 역사적 연구는 세기의 전환기에 서양의학의 지식체계에 대한 인식론적 탐구와 동전의 양면관계를 이룬다.
. 레스터 킹(Lester King)은 18세기의 서양의학에 대해 이러한 철학적 작업을 계속하고 있다.
11. 근대 임상의학 형성에 관한 위생의학(hygienic medicine)과의 상관성
이제까지 근대 임상의학의 형성에 관한 모든 논의는 위생의학(hygienic medicine)
. 이 글에서 위생의학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이유는 사회의학은 비록 프랑스에서 먼저 사용되었다 하더라도 독일에서 발전된 모습을 보여주었기 때문이며 예방의학은 앵글로-색슨의 문화를 드러내기 때문이다.
과의 상관성이 거의 고려되지 않고 이루어져 왔다. 비록 아커크네히트나 푸코에 의해 전염병의 문제가 다루어졌다 하더라도 그것은 임상의학의 근대성 확립을 위한 하나의 요인에 국한되었을 뿐이다. 18세기 후반의 프랑스 사회는 산업혁명과 도시화의 거대한 물결을 타고 중상주의의 舊穀에서 벗어나 상업자본주의로 이행하고 있었다. 세기의 전환기에 프랑스 사회를 휩쓴 콜레라 전염병은 새로운 경제체제가 쏟아내는 사회적 문제- 칼 폴라니(K Polanyi)의 용어를 빌리면 -와 뒤엉켜 공중위생의 문제는 매우 중요한 국가적 과제로 떠올랐다. 근대 임상의학의 탄생과는 다른 역사적 궤적을 밟아온 위생의학에 대한 연구들은 임상의학에 대한 그것만큼이나 방대하다.
. La Berge, AF. Mission and Method: The Early Nineteenth-century French Public Health Movement.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2: 350-357
그러나, 혁명기에 있어서 임상의학과 위생의학이 19세기 서양의학의 근대성을 확립하는데 어떻게 관련성을 갖는가에 대한 역사적 연구는 거의 없는 형편이다.
위생의학의 근대성을 규명하지 않은 채 임상의학의 그것만을 밝히는 작업은 그 나름으로는 의미가 있지만 서양의학의 근대성에 대한 총체적인 조망은 앞으로 이 분야의 연구자들에게 남겨진 몫이다.
  • 가격2,7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08.07.04
  • 저작시기2008.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7287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