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업지도안 세안-임진왜란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총론
1. 역사과의 성격
2. 고등학교 국사교육의 목표
3. 역사과 교수․학습 지도의 유의점

Ⅱ. 단원 연구
1. 단원명
2. 단원 개관
3. 단원의 목표
4. 단원의 구조
5. 단원의 학습계열
6. 단원의 평가

Ⅲ. 본시 교수․학습 계획
1. 주제선정이유
2. 본시 학습 적용의 교수․학습 모형 - 사료 활용 학습
3. 본시 학습 지도시의 유의점
4. 본시 교수․학습 지도안

【첨부자료 1】삽화
【첨부자료 2】지도
【첨부자료 3】 형성평가

본문내용

목표상기
-그럼 오늘 배운 내용을 얼마나 잘 기억하고 있는지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 형성평가
-형성평가문제를 풀어본다.
*수업 내용을 다시 한번 확인한다.
*자신의 성취도를 확인하고 틀린 문제는 피드백을 받도록 한다.
*교과서의 중요한 부분에 줄을 그어 정리를 하도록 안내한다.
차시
학습 예고 및
과제
제시
* 차시학습 예고
-다음 시간에는 광해군의 중립외교 정책과 병자호란에 대해서 공부해보도록 하겠습니다.
* 과제 제시
-일반적으로 광해군은 연산군과 함께 폭군으로 평가되고 있는데, 스스로 다른 자료를 찾아보고 광해군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생각해보도록 한다.
*차시학습 계획 숙지
*과제 숙지
【첨부 1】<동래성 순절도>
보물 392호
선조 25년(1592) 4월 15일 임진왜란 당시 동래성에서 왜군의 침략에 대응하다 순절한 부사 송상현과 군민들의 항전 내용을 묘사한 그림이다.
비단 바탕에 그린 이 그림은 숙종 35년(1709) 처음 그려진 것을 영조 36년(1760) 화가 변박(卞璞)이 보고 다시 그린 그림으로 크기는 가로 96㎝, 세로 145㎝이다. 위에서 내려다보는 듯한 기법을 사용하여 치열했던 교전의 장면을 화폭에 나타내었다. 중심에 동래성이 둥글게 자리 잡고 있고 남쪽 성루를 중심으로 동래 병사들이 수비하고 있으며 이들을 공격하기 위해 왜병들이 겹겹이 에워싸고 있다. 성곽 아래쪽으로는 왜군과 죽음의 결전을 벌이는 장면이 있고, 성곽 안쪽 중심에는 붉은 조복을 입고 북쪽을 향해 앉아있는 송상현의 순절장면이 그려져 있으며 북문 밖으로는 성을 버리고 달아나는 경상좌변사 이각(李珏)의 무리들이 대조적으로 그려져 있다. 화면 위쪽의 산은 윤곽선을 선으로 나타내고 점을 찍어 표현하였는데 다소 경직된 모습이다.
작품의 격은 그리 높지 못하고 구도나 형태, 필치 등에서 경직된 면이 엿보이기는 하지만 커다란 국난을 맞이하여 끝까지 항전한 민족성을 표현하여 민족적 교훈을 담고 있다.
【첨부 2】지도 - 관군과 의병의 활동
임진왜란 당시 관군과 의병의 활동을 나타낸 지도이다. 붉은 화살표는 왜군의 진격로인데 함경도 지역까지 북상한 것으로 된 것으로 보아 국토의 많은 부분을 왜군에 침략당했음을 알 수 있다. 푸른 화살표는 조선과 명군 연합군의 진격로로 한성이북까지 들어온 것으로 되어있다. 여기까지만 표시된 이유는 이후 전쟁을 끝내기 위한 협상이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안에는 의병대장들이고 그 주요 격전지가 줄로 표시되어 있다. 이들의 대부분은 유학자, 승려들이었으며 일반 의병은 대부분 농민이었다.
안에는 관군이 활약한 지역과 이름이 적혀 있고 그 격전지가 줄로 연결되어 있다. 대부분의 격전지가 왜군의 진격로와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대표적인 3대첩은 한산도대첩, 행주대첩, 진주 혈전을 들 수 있다.
전라도 지역에는 왜군이 제대로 침입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나는데, 이는 이순신 장군이 이끄는 수군의 승리가 커다란 힘이 되었기 때문이며, 전라도 곡창지역의 보호가 오랜기 간의 전쟁에서 조선이 승리하는 요인으로 작용되었음을 이끌어낼 수 있다.
【첨부 3】 형성평가
1. 다음은 조선의 기본 외교 정책이다. 이러한 정책에 따라 실시한 대외관계로 옳지 않은 것은?
조선의 외교 정책은 사대교린관계로써, 조공관계로 맺어진 중국 중심의 동아시아 국제 질서 속에서 나타난 외교 정책이며, 이것은 서로의 독립성이 인정된 위에서 이루어졌으므로 예속 관계에 의한 것은 아니었다.
① 왜구의 교역에 대한 요구를 받아들여 부산포, 제포, 염포 등 3포를 개항하였다.
② 명에 대한 사대외교는 왕권의 안정과 국제적 지위를 확보하려는 자주적인 실리외교였다.
③ 조선은 명에 사대 관계를 유지하였으며 명은 내정을 간섭하여 조선의 자주성을 훼손하였다.
④ 여진에 대해서는 강·온양면정책을 폈는데 강경책으로는 토벌을 하여 4군과 6진을 개척하였다.
⑤ 여진족에 대한 회유책으로 귀순을 장려하여 관직을 주거나 우리 주민으로 동화시키기도 하였다.
2. 임진왜란에 대한 다음 설명 중 잘못된 것은?
①도요토미 히데요시는 통일을 이룩한 뒤 일본 국내 혼란을 무마시키기 위해 조선을 침략하였다.
②유생, 농민 등 자발적으로 조직한 의병들이 활약하였다.
③한산도 대첩에서 학익진 전법이 사용되었다.
④판옥선은 뛰어난 방향 선회 능력을 가지고 있다.
⑤전세가 불리해진 일본의 제의로 휴전회담이 진행되었고 그 결과 왜군이 철수하였다.
3. 임진왜란 당시 다음 <보기>와 같은 공로를 세운 병력은?
<보기>
왜군의 보급로를 차단하여 왜군의 작전에 차질을 주었다.
전라도 곡창지대와 황해안을 지킬 수 있었다.
① 명나라의 원군 파병
② 권율의 지휘 하에 행주 대첩
③ 이순신의 지휘 하에 수군의 활약
④ 향토 지리에 익숙한 의병의 활약
⑤ 신립의 지휘 하에 충주 방어선 수비
4. 다음과 같은 배경 속에서 우리나라에서 이루어진 사실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일본 - 에도 막부가 성립되는 한편, 성리학이 전해져 일본 문화가 크게 발전하였다.
중국 - 명이 쇠약해지고, 북방 여진족이 강성해져 후금을 세우고 명을 위협하였다.
ㄱ. 사고(史庫)를 다시 갖추었다.
ㄴ. 공명첩을 대량으로 발급하였다.
ㄷ. 양안과 호적을 다시 작성하였다.
ㄹ. 북벌론이 대두되었다.
① ㄱ, ㄴ ② ㄷ, ㄹ ③ ㄱ, ㄴ, ㄷ ④ ㄴ, ㄷ, ㄹ ⑤ ㄱ, ㄴ, ㄷ, ㄹ
【주관식1】다음에서 설명하고 있는 ‘이것’은 무엇인가? ( 비변사 )
‘이것’의 명칭은 중종 5년(1510)에 일어난 삼포왜란의 대책으로 도체찰사가 설치되고 다시 병조 안에 1사(司)를 두어, 종사관에게 그 사무를 맡기면서 ‘이것’이라 칭한 데서 비롯한다.
그 뒤 변경에 시끄러운 문제가 생길 때에는 독자적으로 군사 행동을 하였지만 이것은 전시(戰時)에만 설치된 임시 관청이었고, 평화시에 있어서의 관제상의 관청은 아니었다. 이것이 정규 관청이 되어 독자적인 합의 기관이 된 것은 명종 9년(1554)이다. ‘이것’의 권한은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이후 아주 강화되어 변경에 관한 문제뿐만 아니라 국내의 일반 행정도 모두 ‘이것’에서 의논하여 결정하게 되니 의정부의 기능은 자연히 마비되고 말았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0.01.14
  • 저작시기2009.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7428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