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상담][교실대화방][상담][학교교육]학교상담의 의의, 학교상담의 성격, 학교상담의 중요성과 교실대화방의 목적, 교실대화방의 순서, 교실대화방의 내용, 교실대화방의 사례, 교실대화방 관련 제언 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학교상담][교실대화방][상담][학교교육]학교상담의 의의, 학교상담의 성격, 학교상담의 중요성과 교실대화방의 목적, 교실대화방의 순서, 교실대화방의 내용, 교실대화방의 사례, 교실대화방 관련 제언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학교상담의 의의

Ⅲ. 학교상담의 성격
1. 예방적 성격
2. 종합적 성격
3. 발달적 성격
4. 체계적(연계적) 성격

Ⅳ. 학교상담의 중요성

Ⅴ. 교실대화방의 목적

Ⅵ. 교실대화방의 순서와 내용
1. 요즈음 일어난 일 중에서 가장 기억에 남아 있는 일 소개하기
2. 생활목표 실천 중에서 자신이 가장 잘 실천한 일과 가까운 친구의 잘한점 및 가족 대화방 내용 소개하기
3. 실천하기 힘들었던 목표에 대한 대안 탐색
4. 우리조의 자랑
5. ‘도와주셔요’코너
6. ‘부탁해요’ 코너
7. 나의 다짐 또는 다함께 부르기

Ⅶ. 교실대화방의 사례

Ⅷ.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본문내용

아이들을 보면서 나 자신을 반성해 보았다. ‘다른 사람의 단점보다 장점을 더 많이 보려고 했는가?’고 자문해 볼 때 그렇게 좋은 점수를 얻을 것 같지 않은 내 모습이 부끄럽기도 했다.
“선생님, 내 물건을 빌려 쓰고 돌려주지 않는 친구가 있어요.”
“자꾸 저를 괴롭히는 친구가 있어요.”
“꼬집어서 멍이 들게 한 사람도 있어요.”
이렇듯 마음 속에 쌓였던 섭섭한 이야기들이 보따리를 풀어놓기 시작하자 끝이 없어진다. 뭐가 그리도 서운하고 답답한지 왁자지껄하게 떠들어댄다.
“다음에는 친구나 선생님, 부모님 그 외의 사람에게 부탁할 일이 있으면 무엇이나 좋으니까 얘기해 보도록 해요.”
“숙제 좀 적게 내 주세요.”
“재미있는 이야기를 하루에 한 가지씩 해 주세요.”
탈도 많고 말도 많은데 담임한테 요구하는 게 더 많다. 우리 조의 자랑을 말할 때는 다른 조 보다 더 특색 있게 하려고 요리조리 꿰맞추기에 바쁘다. 가까스로 분위기를 정돈하여 각자의 다짐을 말하고 다음 대화방 때 이야기할 주제를 정하고 간단하게 게임을 하고 교실 대화방을 마친다. 대화방을 진행하다 보면 교사라는 껍질은 나도 모르게 날아가 버리고 나도 아이들과 함께 웃고 떠들고 하다 보니 어느새 시간이 다 흘러가 버리고 만다. 스스럼없이 자유롭게 이야기하는 아이들이 부럽기도 하고 이렇게 예쁘고 고운 마음들을 다치지 않게 잘 이끌어 가려면 많은 노력과 공부가 필요함을 새삼 느끼고 다시 한번 아이들의 얼굴을 주의 깊게 바라본다.
Ⅷ. 결론 및 제언
학교상담은 교육이라는 제도적 틀 안에서, 학교라는 제도적 조직 안에서 이루어지는 활동이다. 물론 담당교사에게 재량권이 주어지지는 제도적, 조직적 틀을 무시한 채로 학교상담에 임하려는 교사가 있다면 이는 별로 바람직하지 않은 태도이다. 서양의 상담과 심리치료 이론들은 다분히 개업상담의 기초 위에서 발전되었다. 그래서 상담관계를 상담자 개인과 내담자 개인간의 일대일 관계로 파악하는 전통이 강하다. 그러나 학교상담은 그런 관점이 항상 맞지 않는다. 오히려 현실적인 조건을 고려하지 않은 비효율적인 관점이 되기 십상이다. 학교에서는 교장의 방침, 다른 교사들의 의견을 항상 고려해야 하며, 교육청이나 교육부의 정책과 행정절차 등을 항상 고려해야 한다.
조직이나 제도, 행정절차 등은 상담자들에게 항상 ‘규제’로만 작용하는 것은 아니다. 조직, 제도, 행정 등은 많은 경우 ‘지원’과 ‘강화’로 작용하기도 한다. 현재 상담에 관련해서는 오히려 이런 제도적행정적 지원이 너무 부족한 편이다. 상담 분야 입장에서는 규제를 받지 않기 위해서 제도나 행정을 멀리할 시기가 아니라 규제를 받더라도 제도와 행정의 틀 안에 들어갈 필요성이 있다. 예를 들면, 교육부나 교육청의 업무분장을 보더라도 교과교육분야와 비교할 때 생활지도나 상담 분야에 대한 업무는 극히 미미하다. 학교 상담과 생활지도를 주도할 전문상담교사들은 앞으로는 수동적인 차원에서 교육청의 지시를 기다리지 말고 좀더 적극적인 자세로 교육청과 교육부가 학교상담과 생활지도를 지원하도록 운동을 해야할 것이다.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전문상담교사들이 연구회, 협회를 구성하거나(예 : 학교상담연구회) 혹은 기존의 학회나 협회를 발전시켜서 상담 분야가 제도적, 법적, 행정적 지원을 받도록 노력해야 한다.
참고문헌
김계현(2000), 학교상담과 생활지도, 학지사
서울시 카운슬러협회(1990), 학교 상담의 길잡이, 正文, 1990
신보신일 외 3인(1995), 학교상담심리학, 서울 : 중앙적성출판사
존 J. 슈미트(2000), 학교상담, 학지사
한국청소년상담원(1999), 학교상담실태 및 모형 개발연구
한국발달상담연구소, 상담의 이론과 실제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0.04.15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9963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