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음악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음악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선사시대의 음악

2. 고대의 음악
 (1)고구려의 음악
 (2)백제의 음악
 (3)신라의 음악
  가. 통일 이전의 음악
  나. 통일신라의 음악

본문내용

-옥보고가 지은 거문고 음악-
<상원곡>1편, <중원곡>1편, <하원곡>1편, <남해곡>2편, <기암곡>1편, <노인곡>7편, <죽암곡>2편, <현합곡>1편, <춘조곡>1편, <추석곡>1편, <오사식곡>1편, <원앙곡>1편, <원고곡>6편, <비목곡>1편, <십일상곡>1편, <유곡청성곡>1편, <강천성곡>1편 등
3현 3죽의 음악
통일신라 음악은 이른바 3현 3죽의 악기 즉, 가야금, 거문고, 향비파의 3현과 소금, 중금, 대금의 3죽으로 대표된다. 가야금은 통일 이전과 같이 기악 형태로 연주되고 편성되었으며 대표적인 신라의 음악형태인 향가도 지속적으로 발전하였다.
범패
포교를 위한 거사 소리가 이미 존재하고 있었으나 당나라와의 교류로 범패에도 변화가 나타났다. 신라의 진감선사는 830년에 당나라에서 돌아와 경상남도 하동의 옥천사에서 범패를 가르쳤고, 이로써 신라의 불교음악은 새로운 전기를 마련하였다. 당시 나라의 범패는 인도에서 전래된 고풍, 중고에서 중국화한 당풍, 한국에서 한국화한 향풍의 세 가지로 구분되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당악의 유입
통일신라는 신라보다 높은 수준의 음악 문화를 누리고 있던 고구려와 백제의 음악을 수용하고 여기에 당나라의 음악, 서역음악을 넓게 받아들여 통일왕국다운 음악 시대를 열어나갔다. 특히, 신라는 당나라와 연합으로 통일을 하는 과정에서 당과 가깝게 지냈고, 당나라 음악의 영향을 받았던 것으로 보인다. 물론 신라가 당악을 수용했다는 기록은 남아 있지 않아 논란의 여지가 많다.
그러나 『삼국사기』악지에 비파, 즉, ‘당비파’와 구분하여 신라의 악기 ‘향비파’를 소개하고 있고, 최치원의 <향악잡영오수>에서와 같이 ‘향악’이라는 명칭을 사용하고 있어 당악과 당악기의 존재를 확인시켜주고 있다.
이에 비해 향악은 신라 고유의 향토 음악을 가리킨다. 거문고, 가얏고, 향비파, 대금, 중금, 소금, 박, 대고 등 8종의 악기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편성은 통일 이전에 가야금 하나로 노래와 춤을 반주하던 것에 비하여 매우 확대된 것이다.
음성서의 설치
신라 음악사를 살피는 데서 빼놓을 수 없는 것은 ‘음성서’라는 국가 음악기관이다. 설립연대는 분명치 않지만 진덕왕 5년에 음성서에 관직을 두었다는 기록이 있어 대개 7세기경에 제도화된 듯하다. 신라에서는 일찍이 종묘제도를 두어 조상의 제사도 지냈고, 왕과 신하들이 모인 자리에서 연회도 벌였으며, 또 매년 정월 초하루에는 하례까지 있었으므로 이러한 의식에 소용되는 음악을 위해 제도화된 음악기관을 둔 것으로 해석된다.
<참고문헌>
『알기쉬운 국악개론』- 이성천 권덕원 백일형 황현정, 2000년
『청소년을 위한 한국음악사[국악편]』- 송혜진, 2007년
『이미정의 전공음악(국악사)』- 이미정, 2006년
「한국음악사와 서양음악사 비교를 통한 한국음악의 발전 방안 고찰」- 박정아, 단국대 대중문화 예술대학원 석사논문, 2005년
「고등학교 음악교과서의 한국음악사 영역에 관한 비교연구」- 박주연,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 사논문, 2004년
  • 가격1,4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3.01.09
  • 저작시기2014.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2838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