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의 신분제도 {신분과 신분제도, 고려 신분제도의 특징, 반제와 양천제}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고려의 신분제도 {신분과 신분제도, 고려 신분제도의 특징, 반제와 양천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신분과 신분제도

Ⅱ. 본 론

 1.신분
  1) 관인계층
  2) 향리
  3) 군인
  4) 양인 농민
  5) 향·부곡·소민
  6) 노비

 2. 고려 신분제도의 특징
  1) 고려 전기
  2) 고려 중기
  3) 고려 후기

 3. 반제와 양천제

Ⅲ. 결 론

나가는말

본문내용

로 양인농민을 중심으로 한 국역편성과 신분제가 크게 동요했으며 일부 양인들은 국역의 부담에서 벗어나고자 권세가의 농장에 투탁하거나 노비로 전락했다. 그리고 부곡제지역이 점차 일반 군현으로 승격함에 따라 그 주민에 대한 차별이 소멸되었다. 물론 양인 중에서 과거나 군공을 통하여 지위를 높이는 경우도 있었다. 고려시대사
3) 고려 후기
고려의 지배층 : 신진사대부
등장 : 고려 후기에는 경제력을 토대로 하여 과거 시험에 합격한 후 관계에 진출한 향리출신들이 세력을 확장하였는데, 이들을 신진사대부라 부른다.
경제적 배경 : 지방의 중소 지주층 또는 자작농으로서 성장한 향리가 대부분으로서 과거를 통하여 중앙정계에 진출하였다.
권문세족과 대립 : 국가 재정이 어려워지고 전시과의 붕괴로 과전을 받지 못하게 되자, 사전의 폐단을 지적하면서 권문세족과 대립하게 되었다. 고려 말에 신진사대부들은 권문세족으로 대표되는 구질서와 여러 가지 모순을 비판하고, 전반적인 사회개혁과 문화혁신을 추구하였다.
성향 : 신진사대부는 친명파였고 성리학을 신봉하고 있는 능문능리의 관료적 성향이 강한학자출신
양인층
물론 양인 중에서 과거나 군공을 통하여 지위를 높이는 경우도 있었다. 이러한 변동은 홍건적이나 왜구 등 외침이 잦았던 13~14세기에 더욱 활발해졌다.
고려 후기에는 향·소·부곡의 천민들이 양인으로 승격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 이유는 무신정권 시기에 이들이 전개한 신분해방운동과 대몽항쟁기에 이들이 세운 전공으로 향·소·부곡이 일반 군현으로 승격되었기 때문이다. 향·소·부곡은 조선왕조의 개국과 더불어 양인 증가책의 일환으로 완전히 소멸되었다. 홍승기, 『고려사회 연구』
3. 반제와 양천제
고려시대가 되면서 신분제도에 커다란 변화가 생겨났다. 귀족신분제도의 변화가 무엇보다도 두드려졌다. 이와 관련하여 두 가지 점이 지적될 수 있다. 첫째는 귀족신분제도의 근간을 이루었던 골품제가 사라지고 이를 대신하여 새로이 반제가 등장하였다는 점이다. 귀족의 신분상 지위의 높낮이를 가르는 단위가 골과 두품에서 반으로 대체되었던 것이다. 반은 국가에 대한 역의 세습을 전제로 해서 일정한 씨족을 신분계층으로 묶는 단위였다. 그런데 역은 일종의 의무로서 근본에 있어서 특정한 직분을 뜻하는 것이었다. 그런데 역은 일종의 의무로서 근본에 있어서 특정한 직분을 뜻하는 것이었다. 그러므로 반의 구분은 직분이 가지는 성격의 다름을 기준으로 해서 이루어졌다고 할 수 있다. 고려에서는 중앙관리는 물론 그에 버금가는 신분층까지도 세습을 전제로 하는 직분의 다름을 가지고 반을 가르고자 하는 의도가 있었음은 분명하다. 직분의 다름이 중시되었다는 것은 직분이 그만큼 분화되고 전문화되기에 이른 시대적 발전을 반영하여 주는 일이다. 둘째는 골품제 아래에서는 4두품 이상의 귀족들이 관직을 독점적배타적으로 오로지하고, 최고위 관직은 왕족과 왕비족인 진골만이 독차지하였지만 반제 아래에서는 왕족과 왕비족의 특권적 지위는 인정되지 않았다는 점이다. 왕족이건 왕비족이건 일반 귀족의 하나가 되었을 따름이다. 뿐만 아니라 귀족들만의 관직독점권도 보장되지 않았다. 원칙에 있어서 향역을 세습해야 하는 향리의 자식도 과거시험을 보아서 문반의 관직에 나아갈 수 있었다. 군역을 세습해야 하는 군인들도 무반의 관직에 나아가는 일이 드물지 않았다. 중앙귀족만이 그 관직을 독점하여 세습하던 시대는 지난 것이다. 고려시대 신분제도의 변화는 민중신분제도에서도 나타났다. 이러한 변화는 두 가지 점에서 나타난다. 첫째는 평민, 즉 일반 대중의 실체가 제 모습을 드러내기 시작했다는 점이다. 이와 관련하여 양천제도와 사서제도가 본격적으로 시행되었다. 양천제도는 양인제도와 천인제도를 전제로 한 것인데 이 가운데에서 더 중요한 기준이 된 것은 후자였다. 그런데 양인과 대비되는 천인은 현실에 있어서 노비를 가리키는 것이었다. 『한국의 사회신분과 사회계층』, 문학과 지성사, 1991
Ⅲ. 결 론
나가는말
고려의 사회체제는 나말여초의 사회변동 속에서 골품제를 기반으로 한 신라의 지배체제가 붕괴된 위에 새로운 지배질서가 요구되는 가운데 성립되었다. 즉 신라 하대 골품제에 반대한 민의항쟁의 성과물이라고 할 수 있으며, 따라서 이전의 사회보다 더욱 개방적인 사회체제가 이루어질 수 있었던 것이다. 한편 개국공신이나 호족으로 중앙관료화한 부류들이 문벌을 이루며 특권적 지배신분층으로 자리 잡게 되면서 지배체제를 강화하기 위한 엄격한 신분제도가 성립되었다. 고려의 신분제도는 나말여초의 다양한 계층들을 어떻게 국가의 지배질서 안에 편제할 것인가의 문제에 지배층의 요구가 반영되면서 이루어졌다고 할 수 있다. 고려의 사회신분은 상급 지배신분층을 구성한 양반·귀족과 하급 지배신분으로서 중간계층이라고 할 수 있는 향리·서리·남반·군인 등이 지배층을 형성하고, 백정농민·상인·공장(工匠)과 향·부곡·소민, 그리고 노비나 화척·재인 등의 천민이 피지배신분층을 이루고 있었다. 양반·귀족은 중앙의 고위관직을 독차지하며 전시과의 과전 및 공음전시를 지급받아 경제적 혜택을 누리고 있었던 특권계급 이었다. 중간계층은 나말여초의 군소호족(群小豪族)과 연결되거나 공동체에서 부유한 계층에 속한 사람들로서, 국가에서는 이들을 정호(丁戶)로 편제하여 향역이나 군역을 부담시키며 외역전·군인전 등의 토지를 지급했다.
한편 고려왕조는 민(民)들을 공동체 단위로 파악하여 수취체계에 편입시켰는데, 일반 주·군·현에 편입된 공동체의 구성원들은 백정농민으로 농업에 종사하면서 일정한 조세(租稅)·공부(貢賦)·역역(力役)을 부과했으나, 반왕조적 집단 등은 향·부곡 등으로 편제하여 부가적으로 특정 역을 부과하여 이곳 주민들은 신분적으로는 양인이지만 천시되는 경향이 있었다. 이러한 공동체 구성원들은 적(籍)에 올려져 국가에서 부과하는 의무를 이행하고 있었으나, 여진의 포로나 귀화인 등 떠돌아다니면서 천업에 종사하던 무리라든가 노비와 같이 국가나 개인의 소유물로 되어 국가에서 역을 부과하지 않는 계층은 천인이라 하여 일반 양인과 구분했다. 이러한 고려의 신분제도는 중기 이후 전시과 체제가 무너지면서 동요되다가 무신정변을 계기로 붕괴되었다.
  • 가격6,3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5.07.31
  • 저작시기2014.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7791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