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사건 개요
Ⅱ. 판결 요지
Ⅲ. 평 석
1. 쟁점의 정리 및 문제의 제기
2. 근로기준법상 해고예고의 의의
3. 해고예고의 제도적 취지
4. 해고예고의 방법
5. 해고예고의무를 위반한 해고의 효력
Ⅱ. 판결 요지
Ⅲ. 평 석
1. 쟁점의 정리 및 문제의 제기
2. 근로기준법상 해고예고의 의의
3. 해고예고의 제도적 취지
4. 해고예고의 방법
5. 해고예고의무를 위반한 해고의 효력
본문내용
있다. 따라서 그 절차위반만을 이유로 해고의 사법상 효력이 부정되지는 않는다고 이해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우리 근로기준법은 실체적 요건으로서 그 해고에 정당한 사유가 있는 경우에 한하여 이를 인정하고 있고(제31조 제1항 참조), 그 절차적 제한으로서는 제32조에 해고예고규정만을 두고있을 뿐이다. 따라서 독일의 해고제한법과 같이 전반적인 해고의 절차적 제한에 관한 규정이 없는 우리의 현실에서 해고예고제도는 해고의 절차적 제한으로서 충분히 기능할 수 있는 존재의의가 있다고 할 것이다. 이렇게 볼 때 해고의 예고는 해고에 있어서 절차적 기본원칙이므로 이를 규정하고 있는 근로기준법 제32조 1항은 당연히 강행법규이며, 이에 위반하는 해고는 해고 그 자체가 언제나 무효라고 하는 것이 근로기준법의 목적과 취지에 부합된다고 할 것이다. 따라서 본 판결에서 해고예고의무를 위반했다고 하더라도 정리해고의 요건을 갖춘 해고인 이상 부당해고로 볼 수 없다는 판단은 그 타당성이 결여된 것이라고 생각된다. 이러한 판단은 해고의 자유를 원칙적으로 부정하여 근로자의 보호에 그 목적을 둔 근로기준법의 해고제한규정의 의의를 인정하지 않는 결과가 초래되는 판단이라고 생각된다
추천자료
경영상이유에 의한 해고의 요건
트렌스젠더(성전환자)의 부당해고에 관한 합법성여부
우리 나라 해고제한 법리 및 기간제 근로
[부당해고, 부당노동행위에 관한 판례][특허재판에 관한 판례][행정법에 관한 판례][언론법에...
노동법상 부당노동행위구제신청을 한 해고자의 지위 연구
개정 노동법하에서의 해고제도의 변화
법원에 의한 부당해고 등의 구제에 대한 검토
인력 조정의 방법으로써 직무공유와 해고
정당한 이유없는 해고 등의 구제 관련 판례 경향 검토
동부그룹 판례 ,해고무효 소송
여성 불평등의 정의, 원인, 사회적 불평등, 입사, 승진, 보육, 육아휴직, 임금, 해고, 변화, ...
[기업윤리] 한진중공업 & 쌍용자동차 부당해고
2013년 1학기 세상읽기와논술 중간시험과제물 C형(해고노동자에게 편지,강연문)
근로보호법]1. 취업규칙의 변경이 유효하기 위하여 ‘근로기준법’이 규정한 절차 및 요건에 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