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
3) 해고예고의무위반의 효과
“근기법 제26조에 규정하고 있는 해고예고절차는 통상해고, 징계해고의 경우를 구분하지 않고 적용되는 것이나,
징계해고의 경우에 있어서는 비록 사용자가 해고 예고절차를 거치지 않아 해고예고의무를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500원
- 등록일 2011.05.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해고사유의 유형
2. 취업규칙의 해고사유
III. 정리해고의 제한
1. 정리해고의 의의
2. 정리해고의 요건
3. 그 밖의 정리해고 제한
IV . 해고시기의 제한
1 . 해고 금지기간
2 . 해고 금지기간의 예외
V . 즉시해고의 제한
1 . 예고 의무
2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6.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해고는 해고 그 자체가 언제나 무효라고 하는 것이 근로기준법의 목적과 취지에 부합된다고 할 것이다. 따라서 본 판결에서 해고예고의무를 위반했다고 하더라도 정리해고의 요건을 갖춘 해고인 이상 부당해고로 볼 수 없다는 판단은 그 타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10.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해고사유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부당해고로 인정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는 바 30일전 해고예고 통보와 해고사유 및 시기에 대하여는 서면으로 필히 통보해 한다.
즉 일반징계가 아닌 해고에서만 서면통지는 의무이다. 제27조의 해고사유 등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7.03.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예고(또는 예고수당의 지급) 없이 즉시 해고할 수 있다. Ⅰ. 해고제한의 의의
Ⅱ. 해고의 일반적 제한
1. 해고의 정당한 이유
가. 정당한 해고사유의 범위
나. 취업규칙 등의 해고사유
다. 해고이유 통지 의무
라. 징계해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8.04.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