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적정임금의 보장
Ⅱ. 무노동 • 무임금의 원칙
Ⅲ. 실제 판례
• 무노동 부분임금의 원칙 (1992.3.27. 91더36307)
• 무노동 완전무임금의 원칙 (1995.12.21. 94다26721)
Ⅱ. 무노동 • 무임금의 원칙
Ⅲ. 실제 판례
• 무노동 부분임금의 원칙 (1992.3.27. 91더36307)
• 무노동 완전무임금의 원칙 (1995.12.21. 94다26721)
본문내용
전제로 하지 않고 단순히 근로자로서의 지위에 기하여 발생한다는 이른바 생활보장적 임금이란 있을 수 없고, 또한 우리 현행법상 임금을 사실상 근로를 제공한 데 대하여 지급받는 교환적 부분과 근로자로서의 지위에 기하여 받는 생활보장적 부분으로 2분할 아무런 법적 근거도 없다. 임금 2분설에서 전형적으로 생활보장적 임금이라고 설명하는 가족수당, 주택수당 등도 그 지급 내용을 보면 그것이 근로시간에 직접 또는 비례적으로 대응하지 않는다는 의미에서 근로제공과 밀접도가 약하기는 하지만 실질적으로는 근로자가 사용자가 의도하는 근로를 제공한 것에 대하여 그 대가로서 지급되는 것이지 단순히 근로자로서의 지위를 보유하고 있다는 점에 근거하여 지급한다고 할 수 없다.
<참고문헌>
정회철, 기본강의 헌법, 여산, 2010
<참고문헌>
정회철, 기본강의 헌법, 여산, 2010
추천자료
적정재고전략에 대하여
평균임금, 통상임금에 대하여 논하라
민사소송에 있어서의 4대(적정, 공평, 신속, 경제) 이상에 관한 고찰
당사자주의와 직권주의,적정절차의 원칙, 신속한 재판의 원칙
장애 및 유족 국민연금의 적정성 확보방안 연구
평균임금과 통상임금 관련 판례 동향 검토
관광의 공급이론 - 자원공급의 질과 적정이용
형법상 명확성의 원칙 및 적정성의 원칙
[국방예산][국방예산 기본전제][국방예산 특징과 문제점][국방예산 증액문제점][국방예산과 ...
임금관리 (임금결정원칙, 임금체계, 임금형태)
[인적자원관리] 정년연장과 임금피크제 (임금피크제,임금피크제의 장단점,정년연장과 임금피...
[형사소송법] 형사소송법(刑事訴訟法)과 지도이념 - 형사소송의 이념과 상호관계, 실체진실주...
경영전략론,임금피크제 유형,임금피크제 도입배경,임금피크제에 대한 현재 실태,임금피크제 ...
정년연장과임금피크제,임금피크제란,임금피크제 도입배경,임금피크제의 장점 단점,임금피크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