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장애미수와 불능미수
(1)장애미수인가, 불능미수인가?
(2)불능범인가, 불능미수인가?
2.불능미수의 중지미수
(1)중지미수의 요건
(2)견해의 대립과 비판
Ⅲ.乙의 죄책
1.폭력행위처벌에관한법률위반죄의 성부
(1)구
|
- 페이지 44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7.07.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장애)
①심신장애의 범위
②판단방법
2)심리적 요소(사물변별능력 또는 의사결정능력의 흠결)
①의의
②판단방법
(3)효과
1)필요적 책임조각
2)치료감호
III. 한정책임능력자
1. 심신미약자
(1)의의
(2)요건
1)생물학적 요소(심신장애)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6.03.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미수범 처벌규정의 목적을 제대로 이행할 수 있는 길이라 생각된다.
-끝-
<참고문헌>
김일수, 제5판 새로 쓴 형법각론, 박영사, 서울, 2003.
김일수, 제7판 새로 쓴 형법총론, 박영사, 서울, 1999.
박상기, 형법총론, 박영사, 서울, 1996.
손동권,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09.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형법총론(2022), 성균관대학교출판부
이동기, 형법총론(2020), 국민대학교출판부
이재상 장영민 강동범, 형법총론(2022), 박영사
최정학 최관호, 형법총론(2020),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법제처국가법령정보센터, https://www.law.go.kr/ I.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9,900원
- 등록일 2022.08.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미수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2005.
송승은, 「형법상 중지미수범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2006.
박상기, 「형법총론」, 박영사, 2005. Ⅰ. 서론
Ⅱ. 본론
1. 중지미수의 개념
2. 중지미수의 법적 성격과 처벌근거
(1) 법적 성격
(2)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8,000원
- 등록일 2023.03.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미수론
* 개요
* 장애미수
* 중지미수
* 불능미수
* 예비죄
Ⅳ. 정범론
* 정범과 공범이론 개요
* 공동정범
* 간접정범
* 교사범
* 종범
* 공범과 신분
Ⅴ. 죄수론
* 죄수론 개요
* 법조경합
* 포괄일죄
* 상상적 경합
* 경합범
Ⅵ.
|
- 페이지 239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8.12.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미수범 총설
22장 예비와 음모
23장 장애미수
24장 중지미수
25장 불능미수
26장 과실범
27장 공범의 의의와 공범이론
28장 공동정범
29장 교사범
30장 종범
31장 간접정범
32장 공범과 신분
33장 부작위범
34장 죄수론(罪數論)
35장 형벌의
|
- 페이지 109페이지
- 가격 3,300원
- 등록일 2002.06.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형법적 가치평가로서의 잠재적 위험성을 의미한다는 견 해가 대립되어 있다.
불능미수의 처벌
불능미수범의 형은 기수범보다 감면할 수 있다.(임의적 감면) 이는 장애미수와 중지미수의 중간 정도의 처벌에 해당한다.
관련 사례정리
사례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20.11.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責任阻却事由
1. 형법상의 기대불가능성
2. 초법규적 책임조각사유
[2] 强要된 行爲
Ⅰ序說
1. 의의
2. 법적 성질
Ⅱ. 强要된 行爲의 成立要件
1. 强制狀態
2. 强要된 行爲
Ⅲ. 强要된 行爲의 效果
1. 被强要者의 責任
2. 强要者의 責任
|
- 페이지 19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5.11.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형법Ⅰ(총론 상), 499쪽 참조.
.
(2) 형법개정안에 있어서 구성요건적 착오
형법 개정안에서는 종래 형법전에서 사용하고 있던 사실의 착오라는 용어 대신 구성요건의 착오를 사용하고 법문의 내용도 다음과 같이 수정하였다.
제12조〔구성요건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3.12.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