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H paper, 당도계, 95% alcohol로 측정한다.
: 95% alcohol - 여과액과 동량으로 시험관에 넣고 펙틴이 거의 없으면 분산되지만, 펙틴이 많이 있으면 덩어리가 생기므로 결과로 펙틴양을 측정해 볼 수 있다.
cf) 귤은 다른 과일에 비해 펙틴양이 많은 편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10.02.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처음부터 설탕과 함께 끓이고, 한참 끓은 후 나머지 반을 넣고 조리면 나중에 넣은 것은 형태가 남게 된다. 프리저브로 만드는 과일로는 체리(양버찌) ·무화과 ·복숭아 ·배 ·자두 ·딸기 등이 많이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잼 ·프리저브 ·마멀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8.12.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측정하는 온도 측정법, 당도(65%)를 측정하는 당도 측정법이 있다.
Jelly point에 이르렀으면 냉각하여 제품화 한다.
5. 참고문헌
1. 농산가공학, 영지문화사, 김동연 외4명 공저, 2000, pp283~289
2. 식품산업기사실기, 한국식품과학교수협의회, 지구문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03.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펙틴의 종류
3. 펙틴의 성질
4. 펙틴의 이용
5. 펙틴의 구조
6. 펙틴이 인체에 미치는 기능성
7. 펙틴 제조방법
잼 [jam]
1. 펙틴제조의 산업화가 제주감귤 산업에 미치는 영향
산 [酸, acid]
당 [糖, sugar]
사과잼 제조법
1. 재료 및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5.06.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및 젤리의 기본공정은 비슷한데, 원료수세→박피 및 절단→윤절→가열→여과 및 청징(젤리공정)→pH, 당, Pectin량 측정→가열 및 가당→Jelly point 판정→냉각→제품이다. 처음 가열은 과실 중의 펙틴을 추출하기 위한 공정이다. 과실 중의 펙틴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03.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