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예수에 대한 인식된 호칭이었다. 그는 주저함 없이 사용한다. 그러나 우리는 부활 이전에 많이 사용되었다고 단정해서는 안 된다.
5. 다른 명칭들
누가는 다른 명칭들도 사용한다. 그는 자주 예수를 “교사”라고 부른다. 그러나 이것은 예수
|
|
![]() |
것으로 보고 있음이 분명하다. 사도행전을 읽는 것은 제도에 대한 매우 대조적인 관심을 가진 역동적인 그룹의 삶을 일견하는 것이다. 탈버트는 초기 가톨릭적인 누가의 경향의 특징을 “오직 성경”의 신학적 강령의 주요 골자이다.
|
|
![]() |
신약 안의 가르침에서 그리 평범한 게 아니다. 그것은 누가가 십자가를 바라보는 한 방식이며 다른 누구보다도 더 많이 사용하는 방식이다. 그것은 죄인들에게 구원을 베푸시는 하나님의 방법이었다.
속죄에 대해 알고자 하는 이는 누가보다
|
|
![]() |
님의 긍휼의 중요한 외적 사역이다. 그는 자비로우시며 구원에 필요한 지식을 그의 백성에게 알리시는 분이시다. 누가는 죄 사함이 선포되어질 것을 분명히 하였다. 때때로 누가는 우리에게 하나님이 그의 백성을 “방문 한다”고 말한다.
|
|
![]() |
자는 누구든지 사함 받지 못할 것이라고 말씀하셨다. 이러한 성회의 활동 속에서 성령은 살아 계시고 활동하시는 분으로 보았음은 분명하며 교회를 밝게 비추고 감동시키는 존재로 보았던 것을 쉽게 알 수 있다. 이 가르침을 흐리게 하거나
|
|
![]() |
믿음
▶ 요한계시록은 대단히 상징적이고도 비유적인 심상을 사용하고 있다.
▶ “요한계시록의 주요 신학적인 원리들을 결정하고 자세한 세목들의 늪에 빠지지 않도록 하라” 제 8 장 구약의 장르들
제 9 장 신약의 장르들
|
|
![]() |
요한이 기적을 표현하기 위해 즐겨 사용한 단어는 “표적”이 아니라 “사역”이다. 이 단어는 요한에 의해 표적에만 국한되지 않고, 좋던지 나쁘던지, 사람들이 행한 일들에도 사용한다. 이것은 우리가 선한 행위를 우리 스스로 하는 것이
|
|
![]() |
사도행전
(3) 요한서신
2) 신약의 각 책을 통해 본 성령이해
(1) 성령의 인격
(2) 성령의 사역
(3) 성령의 은사
(4) 성령세례와 성령 충만에 대해.
Ⅳ. 나오는 말.
참고문헌. Ⅰ. 들어가는 말.
Ⅱ. 종교개혁자들과 현대 서구 신학자들의 성령 이
성령, 신약에 나타난 성령,
|
|
![]() |
레온 모리스, 『요한신학』, 홍찬혁 역, 기독교 문서 선교회, 1995.
J. Calvin,『기독교 강요 중』, 김종흡 외, 생명의 말씀사, 1986.
이한수,『신약의 성령론』, 총신대학출판부, 1998.
비슬리 머리, 『요한복음』, 솔로몬, 2001.
이한수,『신약은 성령
|
|
![]() |
3장 그리스도를 통한 하나님의 구원사역
(레온모리스-신약신학)
1. 죄의 노예
2. 육
3. 율 법
4. 죽 음
5. 하나님의 진노
6. 심 판
7. 이 악한 세대
8. 십 자 가
9. 구 원
10. 칭 의
11. 화 목
12. 하나님의 사랑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