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근로계약이나 취업규칙의 부분 또는 근로계약이나 취업규칙에 규정되지 않는 사항에 대하여 단체협약의 기준을 적용하는 효력이다.
노조법은 '근로조건 기타 근로자의 대우에 관한 기준'을 규범적 효력이 생기는 부분, 즉 규범적 부분으로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5.05.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근로자가 업무상 준수해야 할 복무규율과 임금근로시간 등의 근로조건에 관하여 구체적인 사항을 정한 규칙으로써 근로자의 근로조건의 보호를 위해서 중요한 의의를 갖는다 할 것이다.
따라서 근로기준법의 기본이념인 근로자의 근로조건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9.09.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근로시간 해당 여부가 불분명한 시간에 대하여는 위에서 제시한 여러 가지 판단기준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노사간 합의에 따라 실 근로시간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합리적으로 결정하고, 이를 단체협약이나 취업규칙 등에 명확히 규정해 나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9.07.3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사후적으로 같은 절차에 의하여 추인되지 않는 한 체결된 단체협약(정식으로는 그 案)에 효력을 인정할 수 없다 (49면)고 하고 있다. 그러나 小宮文人(학회지노동법 69호, 53면)은 반드시 그러한 정식의 추인절차를 요하는 것이 아니라 협약의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02.03.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근로자 과반수로 조직된 노조나 근로자 과반수의 동의를 필요로 하는 불이익변경으로 볼 수 없을 것이다.
(4) 개정법 시행이후 단체협약 및 취업규칙을 변경하지 않는 경우 기존의 월차휴가, 연차휴가, 생리휴가관련 규정의 효력은?
근로기준
|
- 페이지 23페이지
- 가격 7,500원
- 등록일 2009.05.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