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른쪽)
아래) 반병두리(왼쪽) 합(오른쪽)
합 밥소라 보시기
쟁첩(위) 종지(왼족) 토구(오른쪽)
위) 술잔-자기(왼쪽) 술잔-백동(오른쪽) 아래) 술잔-유기(왼쪽) 탁주잔(오른쪽) (1) 액체를 따르는 기구
(2) 담는 식기
(3) 그외
(4) 사진첨부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700원
- 등록일 2005.12.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식기에 담는 법
왼손으로 그릇을 들고 오른손으로 젓가락을 들고 먹는 것이 전통적인 일본의 식사방법입니다. 그릇을 손으로 들고 먹는 습관은 세계적으로 보더라도 매우 드문데, 일본요리에서는 모양과 재료, 크기가 다양한 그릇을 준비하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12.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해산물 어류 등도 말린다. 특히 김장 때에는 소금에 절인 배추나 무를 씻어 담아 물기를 빼기도 하고, 여러 가지 양념을 썰어 담아 두기도 한다. 1. 서양의 식기
2. 종류와 용도
3. 중국의 식기
4. 한국의 식기
5. 종류와 용도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3.12.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식기와 공간미에 있다. 일본 식기는 재질과 형태가 다양해 음식을 연출하는 데 있어 장점을 갖고 있다. 담을 때도 공간의 미를 충분히 고려한다. 무조건 많이 담는 게 아니라 색과 모양을 보기 좋게 다복다복이 담는 것이 일본 요리의 특징이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14.06.16
- 파일종류 워드(doc)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담는 뒤주와 귀중품을 보관하는 궤짝이 놓여 있다. 광에는 뒤주와 전궤, 곡물을 담은 섬 등이 보관되어 있다. 부엌에는 음식을 조리하는 조리기구와 음식을 담는 식기, 음식을 보관하는 찬장, 물을 담아두는 물통, 나무땔감 등이 놓여 있다.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2.03.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