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론이 많아 이를 잘 지킨 사람은 칭송하며, 군신·부자·남녀의 위계질서를 정립하고 현실적으로 성종과 사림의 정치적 입장을 강화하려는 의도가 내포되어 있다. 세조가 편찬하려던 <동국통감>은 세종의 고려사를 토대로 하고 그 토대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13.01.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사론 385편이 수록되면서 성종조 역사 인식을 긍명하게 보여주고 있다. 게다가 신사론(신편)은 구사론과 겹치지 않은 내용에 첨가하고 삼국에 대한 사론을 고루 첨가함으로서 균형이 이루어진 사서였다.
『동국통감』에서 흥미로운 점은, 신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0.02.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동국사략에서 신라를 정통으로 내세운 것과는 대비되는 점이다. 그러나 동국통감은 사론이 지나치게 성리학적 관점에 치우쳐 있다는 것은 한계로 지적된다. 중국에 사대한 행적이 있으면 칭송되는 반면에 대항했거나 사대를 소홀히 한 점이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06.03.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국통감』을 편찬하였고,『신편동국통감』은 그것을 약간 수정하거나 거기에 주로 사론을 더 첨가하여 편찬하였다는 점에서『동국통감』은 사림과 훈구세력의 합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책은 훈구세력의 마지막 사서로서 의미를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7.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동국통감』의 사론은 삼강오륜(三綱五倫)의 강상윤리를 강조하고, 불교 등 이단에 대하여 통렬한 비판을 가하였다.
이같은 서술 형태는 춘추대의론에 입각한 사론의 포폄으로 나타났으며 편찬자들의 역사인식체계에도 그대로 나타난다. 비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09.09.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