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를 전소와는 별개의 소송물로 보려는 견해 등이 대립하고 있었다.
3. 변경의 소의 신설
이와 같은 학설과 판례에 대하여는 모두 완벽한 이론구성이 아니라는 비판이 있었는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정 민사소송법은 변경의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0.12.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소병합 경우)///a.수단인청구의 흡수-토지인도청구와 함께 지상건물철거청구..1개의 청구가 다른 청구의 수단에지나지x때 인도청구만이 소가///c.부대청구의 불산입-주된청구와 부대목적인 과실.손해배상금.위약금.비용의 청구는 별개소송물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700원
- 등록일 2008.12.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소라고 하면서도 처분권주의가 적용될 여지가 있다는 견해도 있지만 형식적 형성의 소라고 보는 만큼 앞서 본 바와 같이 처분권주의가 적용되지 않아 법원은 합목적적 재량에 의해 법률관계를 형성할 수 있다. Ⅰ. 들어가며
Ⅱ. 형식적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500원
- 등록일 2010.12.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실체법상의 형성권 그 자체의 주장하게 된다.
2) 소송법설
이는 다시 일지설과 이지설이 다른 결론을 지닌다.
가) 일지설 - 형성을 구할 수 있는 법적 지위
나) 이지설 - 형성을 구할 수 있는 법적 지위와 이를 떠받드는 청구원인인 사실관계
3)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500원
- 등록일 2010.05.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필요 없다고 풀이하는 것이 통설이다.
소유권확인청구에 있어서 청구원인으로 소유권취득원인(매매취득시효)을 기재하여도 이는 청구를 이유 있게 하기 위한 공격방어방법에 불과하다. 그 이유는 확인의 소에 있어서는 소송물로서 주장된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10.05.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이의사유의 동시주장
민사집행법 제44조 ③항은 이의사유가 여러 가지인 때에는 동시에 주장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여기서 말하는 동시는 하나의 소송절차에서 주장하는 것을 말하며, 그 당시 존재하는 이의사유들을 모두 소장에 기재해야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9.05.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소송이나, 이 두가지를 1개의 소로써 함께 청구하는 때에는 부대청구의 가액은 소가에 산입하지 않는다.
◎ 참고문헌
- 이시윤, 『신민사소송법』, 박영사, 2010
- 호문혁, 『민사소송법』, 법문사, 2011.
- 네이버(www.naver.com) Ⅰ. 개념
Ⅱ.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1.05.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민사소송법 박영사 2004
2)김춘환 정영훈, 테마 민사소송법 고시계 2005
3)이종훈, 단번에 민소법 정복하기 고시메인 2005
4)전병서, 민사소송법 연습[3판] 법문사 2005 민사소송법상의 관할- 토지관할(재판적)
1. 토지관할의 의의와 종류
(1)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5.10.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소송을 알든 모르든 이에 대해 모든 경우에 그 기판력이 있다고 해석하여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판력의 주관적 범위를 규정한 민사소송법 제204조 제3항의 규정에 의하면 타인을 위하여 원고가 된 자에 대한 확정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3,300원
- 등록일 2007.04.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매우 의문이다.
여기서 특별항고란 민사소송법상 불복방법이 인정되지 않는 결정 명령에 대하여 재판에 영향을 끼친 헌법 또는 법률의 위반이 있음을 이유로 하는 때 한하여 대법원에 불복하는 항고(420조 1항)이다.
(4) 이송의 효과
1)구속력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04.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