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책임제한제도를 명문화한 개정상법하[638] 에서도 불감항과실에 대한 손해의 경우에 운송인 자신의 고의 과실이 없고, 상법상의 책임한도액보다 적지 않은 범위에서 배상액을 제한한 약관은 상법 제790조의 위반으로 되지 않는다고 해석하는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09.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책임보험자도 운송인의 면책사유나 책임제한을 주장할 수 있다고 본다.
(2)책임을 부담하는 경우
1)감항능력주의의무위반이 있는 경우(상법 787조)
2)상사과실이 있는 경우(상법788조 1항)
(3) 채무를 부담하지 않는 경우
1) 항해과실이 있는 경우(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05.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상법 제787조 내지 제789조의 규정에 저촉되는 경우에는 불법행위
책임에도 적용되지 않는다.
08. 상법 제790조는 면책약관 중 전반적인 책임을 제외하거나 또는 특정손해
에 대한 책임을 제외하는 이른바 책임제외 약관과 입증책임을 변경하거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06.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운송인의 책임은 화물의 선적시부터 양하시까지 즉 \"tackle to tackle\"이 며, 과실책임주의에 따라 선박의 감항성 확보와 화물의 취급에 상당한 주의(due diligence)를 기울여야 한다. 따라서 상당한 주의를 기울였다고 하는 것을 거증할 책임도 운송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12.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운송인의 책임에 대해 설명하시오 (20점)
1) 복합운송인의 의의
2) 복합운송인의 기능과 역할
(1) 복합운송인의 기능
(2) 복합운송인의 역할
3) 복합운송인의 책임
(1) 멸실 및 훼손에 대한 책임
(2) 인도지연에 대한 책임
(3) 불법행위에 대한
|
- 페이지 19페이지
- 가격 6,000원
- 등록일 2020.10.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