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술담그기
우리나라와 비슷하게 발효제로 누룩을 사용하며 양조장에 따라 누룩을 직접 만들어 사용하기도 하여 누룩의 재료 또한 통밀, 쌀, 고량, 조, 수수 등으로 다양하다. 지역마다 기후가 달라 누룩에 피는 곰팡이가 다르며, 대표적인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4,200원
- 등록일 2013.07.01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담그기 시작 : 부여(만주)는 콩의 원산지
콩과 밀을 2:1의 비율로 만듬.오늘날의 메주와 크게 다름.(오늘날의 메주 쑤는법은 조선 후기『증보산림경제』에서 부터 보임)
2 삼국지 위지 동이전 : 고구려에서는 장양(醬釀; 장담그기와 술담그기)을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4.10.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술빚기,장담그기, 젓갈등의 발효음식을 매우 잘한다"고 씌어 있어 이 시기에 이미 저장발효식품을 생활화하였음을 알 수 있다.
200. 김치의 CODEX 국제식품규격-1
<김치규격명>
배추김치에 대한 국제통용명인 "Kimchi"로 규정
<김치
|
- 페이지 37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7.06.04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술빚기,장담그기, 젓갈등의 발효음식을 매우 잘한다’고려 중엽의 이규보 「동국이상국집」의 시 ‘가포육영에서 장에 담그면 여름철에 먹기 좋고 소금에 절인 김치는 겨울 내내 반찬되네’
김치는 예로부터 한반도에서 산출되는 모든 채
|
- 페이지 23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7.12.03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담그기·술빚기 등의 발효성 가공식품을 잘하였다는 기록이 나오고, 고려시대까지는 된장에 관한 구체적인 문헌이 없지만, 콩으로 메주를 쑤는 법이 《증보산림경제(增補山林經濟)》에서 보이기 시작하여 오늘날 된장제조법의 근간이 됨.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04.04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