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추해석 금지의 원칙에 비추어 볼 때, 이 규정에서 말하는 '신체장애'에 정신박약 등으로 인한 정신장애도 포함된다고 해석하기는 어렵다(대판 1998.4.10. 97도3392)
⑪ 근로기준법 제27조의3 제2항에서는 같은 법조 제1항에 따른 구제신청 및 심사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8.12.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2). 죄형법정주의원칙의 위배여부
그러나 이러한 목적론적 해석은 죄형법정주의의 한 내용인 유추해석금지의 원칙과의 관계에 있어서 일정한 한계를 지닌다고 할 것인데, 그 한계는 법 규정의 문언에 두지 않을 수 없다. 목적론적 해석이 문
[법학] ‘형법 제170조 제2항의 해석에 관한 논쟁’, 죄형법정주의, 판례검토-과수원 실화사건, [법학] ‘형법 제170조 제2항의 해석에 관한 논쟁’ 죄형법정주의, 의의, 죄형법정주의 내용, 소급효금지의 원칙, 명확성의 원칙, 유추해석의 금지, 과수원 실화사건 판례),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400원
- 등록일 2013.09.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유추해석이 아니라 목적론적 축소해석에 불과하므로 죄형법정주의의 파생원칙인 유추해석금지의 원칙에 위반되지 아니하는 것이다(전원합의체판결 1997.3.20, 96도1167). 1. 유추적용금지의 원칙 전반
2. 제한적 유추이냐 목적론적 축소해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12.05.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고자 하는 것으로서 법문언의 가능한 의미를 벗어나지 않으므로 허용된다. 그러나 유추해석은 법의 흠결을 보충하는 것을 목적으로 구성요건상의 어의의 한계를 벗어난 법창조에 해당하므로 금지된다(통설,판례).
Ⅴ. 적정성의 원칙
1. 의의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4.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유추해석은 법의 흠결을 보충하는 것을 목적으로 구성요건상의 어의의 한계를 벗어난 법창조에 해당하므로 금지된다.
Ⅶ.적적성의 원칙
1.의의
범죄와 형벌을 규정하는 법률의 내용은 기본적 인권을 실질적으로 보장할수 있도록 적정해야 한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700원
- 등록일 2005.05.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