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학이 되길 기대한다.
< 참고 문헌 >
조동걸, 한영우, 박찬승 엮음, 한국의 역사가와 역사학, 창작과 비평사, 1994
김두진, 두계 이병도(1896~1989)의 사학과 근대 한국사학의 수립, 역사학보(2008)
조인성, 이병도의 한국고대사연구와 식민주의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2.01.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에서는 이병도의 학설을 답습하고 있기 때문에 우리가 배우는 역사학은 전부 식민사학이고, 조작된 것이다. 그러나 필자가 위에서 조사한 내용들로 보아, 이병도는 친일파도, 식민사학자도 아니었다.
본 보고서를 작성하면서 가장 안타까웠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7.04.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이병도가 식민사학자였다면, 가야에 관한 언급들 중에 임나일본부에 관한 얘기는 왜 다 빼먹은건지 잘 모르겠다.
314쪽
명과의 관계
태조는 즉위 이전부터 친명책을 주장하고 또 실행하여 오던터이므로 개국 후에도 그리하여 대대로 소위 사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400원
- 등록일 2013.10.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사학
; 1934년, 이병도신석호이홍렬김상기 → 「진단학회」조직
식민사학 계승, 사관이나 이론은 배제하고 역사적 사실이 있는가 하는 것만을 탐구하는 사학
조선사편수회에 가담한 사람들이 많다.
해방후, 이병도는 「한국사대관」에서 한국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10.03.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식민사관의 영향력에서 벗어날 수 없었다. 독립투쟁의 많은 민족주의 사학자들이 학계를 거의 떠나고, 유물사관론자들의 납북으로 국사학계는 이병도를 주축으로 한 실증사학풍의 학자들이 학계를 장악하게 된다. 즉 일제가 남겨놓은 식민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10.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