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리학적 논의 구조이지만 이로부터 탈피하고자 노력했던 사람이나, 허균과 같이 인심도심에 대한 형이상학적인 사변 논쟁 자체를 부정함으로써 인간의 자연스런 심성의 발로를 강조한 사람의 논의는 이 논의의 변용 가능성과 관련해서도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17.12.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마음이 본성이 명하는 대로 올바름에서 곧게 나와도 그것을 선(善)으로 완성시키지 못하여 그 사이에 사의(私意)가 개입되면, 이는 처음에는 도심이다가 마침내는 인심이 된 것이다.”
|
- 페이지 1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1.07.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성리학에서의 리 개념 비판
2)정약용의 천 개념
<심성론>
1)몸과 마음의 관계(심신묘합(心身妙合)
2)원욕(욕구에 대한 새로운 해석)
3)성기호설
(1)형구의 기호
(2)영지의 기호
4)사단과 사덕 (단시설)
5)인심/도심
(1)도심
(2)인심
(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1.08.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성리학 수용 연구, 일조각, 1995
송석구, 율곡의 철학사상연구, 형설출판사, 1987
윤천근, 퇴계의 이단에 대한 태도, 퇴계철학을 어떻게 볼 것인가?, 온누리, 1987
윤사순, 한국의 성리학과 실학
황준연, 한국사상의 이해 Ⅰ. 주자학(성리학)의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1.05.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성리학적 특성을 중심으로 = reinterpretation Four budding - seven emotions debate
허원, 울산대학교,[2010] [국내석사]
17세기 율곡학파의 인심도심 논변 -이세필, 송시열, 윤증의 \"기용사(氣用事)\" 논변을 중심으로- = 17世紀谷學派的人心道心論辯 -以李世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3,700원
- 등록일 2020.01.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