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17
0.19
2
2
(0.093)
0.12
0.14
0.17
0.19
0.22
2
3
0.12
0.14
0.17
0.20
0.22
0.25
2
4
0.15
0.17
0.20
0.23
0.25
0.28
2
5
0.17
0.20
0.23
0.26
0.29
0.32
3
0
(0.078)
(0.11)
0.13
0.16
0.20
0.23
3
1
(0.11)
0.14
0.17
0.20
0.23
0.27
3
2
(0.14)
0.17
0.20
0.24
0.27
0.31
3
3
0.17
0.21
0.24
0.28
0.31
0.35
3
4
0.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6.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방법이 있다.
6) 연속한 3단계 이상 희석시료 0.1, 0.01, 0.001mL를 각각 5개씩 발효관에 가하여 배양 후 얻은 양성발효관 수가 5-4-2일 경우, 검체 1mL 중 또는 1g 중 존재하는 대장균 수를 최확수표에 의해 산출하시오 (반드시 최확수 통계표 출처 표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20.09.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방법
(가) 직접현미경법(direct microscopic count method)
직접 현미경을 통하여 원액중의 미생물 수를 세는 방법으로 Breed에 의해 개 발되었고(Breed법), 슬라이드의 1㎠ 내에 원액 0.0l㎖를 도말건조시켜 염색 후 직접 세균수를 세고, 현미경 계수를 곱하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9.07.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방법
(가) 직접현미경법(direct microscopic count method)
직접 현미경을 통하여 원액중의 미생물 수를 세는 방법으로 Breed에 의해 개 발되었고(Breed법), 슬라이드의 1㎠ 내에 원액 0.0l㎖를 도말건조시켜 염색 후 직접 세균수를 세고, 현미경 계수를 곱하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3.12.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방법은 유당 bouillon 법 중 정량 시험에 따른 것이며, 그 후의 조작은 각 발효관에 대하여 BGLB 법에 의한 정성 시험과 똑같이 하여 대장균의 유무를 조사하고 MPN 표에 의하여 최확수를 산출한다.
참고문헌
http://hukobio.com/
http://www.emco.co.kr/general.ht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4.12.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