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진찬(進饌) ·진연(進宴)에서 무고(舞鼓)와 더불어 빠지지 않는 중요한 춤이었다. 조선 후기까지 전해졌으나 현재는 전해지지 않는다.
<그림25> 아박
동동(動動) ·동동무(動動舞)라고도 한다. 《고려사(高麗史)》 <악지(樂志)> 속악조(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15.01.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헌종 l4)에 거행된 대왕대비전 육순(六旬) 잔치 때 진연의 발기를 보면, 회갑(回甲) 정일(正日)에 차린 진어찬안(進御饌案)은 무려 45기(器)가 되었다. 그 괸 높이는 음식에 따라 약간씩 다르지만 최고 높이 51 cm부터 45 cm, 42 cm, 39 cm, 30 cm 등 여러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700원
- 등록일 2002.05.24
- 파일종류 워드(doc)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진찬의궤, 진연의궤,
궁중의 음식발기, 왕조실록
한희순에게 전수 받음
한국 음식의 정수
조선시대 후기
: 한국 고유의 전통 음식 정착
궁중음식의 재료
식품의 조달
: 각 궁궐 부근에 소정의 채마전 마련,
관리위해
|
- 페이지 28페이지
- 가격 1,400원
- 등록일 2013.07.11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 이는 조선시대 궁중음식 관련서인 《진연의궤》, 《진찬의궤》를 살펴보면, 궁중의 연회상차림에 과편이 자주 등장하고 있음으로 미루어 알 수 있다. Ⅰ. 유밀과류
Ⅱ. 다식류
Ⅲ. 당속류
Ⅳ. 고찰
Ⅴ. 자료출처 및 참고문헌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15.03.14
- 파일종류 워드(doc)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진찬의궤』에 자바라가 <선유락>의 반주용으로 사용
제작재료
(금부)-둥근 놋쇠판
연주법
놋쇠판 중앙의 불룩하게 솟은 부분에 구멍을 뚫고 끈을 꿰어 그것을 양손에 하나씩 잡고 서로 부딪쳐서 소리를 낸다
소리나는 원리
(체명악기)
29.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10.03.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