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도에 따라 배아, 배유 부위에 정색반응이 다르게 나타나므로 이를 비교하여 신·구곡을 감정한다. 일반적으로 신곡은 정색반응이 강하며, 구곡일수록 반응이 약하거나 정색반응이 전혀 일어나지 않는다. 다만 신곡이라 하더라도 보관불량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11.06.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정도 일어났는가를 측정하는 지표로 이용하기도 한다. 묵은 쌀일수록 또한 저온보다 상온에 보관한 쌀일수록 이 지방산도 치가 높게 측정된다. 이 외에 glutamic acid 탈탄산효소(GADA)도 저장(貯藏)에 따른 품질지표로 이용될 수 있 다. 이 효소는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06.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현미 > 5분도미> 8분도미 > 10분도미 순으로 염색정도의 차이를 보일 것이고, 도정도가 작을수록 더 초록색을 띌 것으로 예상된다. 도정도가 높을수록 전분 층이 많이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염색이 제일 잘될 것이기 때문이다.
실험결과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4.04.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도로 간주한다. 쌀의 搗精정도를 '도정도(搗精度)'라고 하는데 이 搗精度는 강층의 剝離정도 즉 搗精정도를 지칭하는 것이로써 소위 도정율과는 성질상 다른 것으로서 搗精度는 제품의 품질을, 도정율은 쌀의 이용 효율을 뜻한다. 도정도(搗
|
- 페이지 21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1.03.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도정(搗精)은 현미(玄米)나 보리 등의 낟알로부터 외피(外皮), 즉 등겨를 제거(除去)하여 식용(食用)에 맞도록 가공(加工)하는 것으로, 도정(搗精)의 정도는 도정도(搗精度)와 정백률(精白率)의 2가지 방법(方法)으로 표시하는데, 도정(搗精)의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2,800원
- 등록일 2014.01.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