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목차
없음
본문내용
성 또는 고장성 탈수로 입원을 요한다.
증상은 대개 1주일 이내에 호전, 입원아의 20%에서는 1주 이상 지속
바이러스 배설은 증상 발현 후 7~8일간 지속
면역 결핍 환자에서 만성 설사증을 유발할 수 있다.
성인에서는 대부분 무증상 감염.
44. 장 바이러스 감염
가. 장 바이러스 감염의 유행시기를 기술한다.
8, 9, 10월에 많이 발생.
다. Herpangina와 수족구병의 특징적인 발진 양상을 기술한다.
herpangina; 발열이 있는 동안에 구이두 부위에 1~2mm크기의 소포, 궤양
지름이 10mm의 홍반으로 둘러싸임
수족구병(hand, foot, and mouth disease)
; 내진과 발진의 복합형은 영.유아에서 100%, 학동기아에서 38%,
성인에서 11%
4~8mm크기의 궤양성 구내병소가 혀와 협점막에 주로,
3~7mm크기의 수포성으로 발보다는 손에 손발 바닥보다는
손발등에 자주 생긴다.
45. 일본 뇌염
가. 일본 뇌염 바이러스의 전파 양식을 설명한다.
전파양식; 뇌염 모기인 Culex tritaeniorrhynchus가 사람을 물어서 흡혈할 때에 감염.
바이러스는 가축(돼지 닭등)의 체내에서 잘 번식, 이들이 중요한 바이러스의 중간숙주의 역 할을 함. 중간 숙주의 혈액을 흡혈한 후 사람을 물어서 전파.
나. 일본 뇌염의 임상증상, 진단 방법 및 예방 원칙을 설명한다.
임상 증상; 불현성 감염이 대부분임.
뇌염까지 발전하지않는 부전형(abortive type)이 많은 것으로 생각됨
잠복기 - 4~14일, 전구기 - 2~3일, 급성기 - 4~7일,
아급성기 - 7~10일, 회복기 - 4-7주
발병은 급성으로 진행, 고열 두통, 현기증, 구토, 무욕 상태 혹은 흥분 상태 등이 나타남.
-병이 진행되면 의식 장애, 경련, 혼수, 사망에 이름.
-어떤 환아는 사지에 마비가 와서 소아마비나 뇌졸증과 비슷한 증상 보이기도 함.
-근육 강직, tremor, 개구 불능도 나타날 수 있다.
-진단 방법; 지역, 발생 계절, 연령, 고열 및 의식 장애등의 임상 증상,
CSF 소견 등으로 일본 뇌염을 의심하게 되나
확진은 혈청학적 검사에 의하거나 뇌조직에서의 바이러스 추출 및
형광 항체 염색을 통한 항원 검출.
-예방원칙;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하며, 모기 유충의 번식을 방지,
유행지역에서는 예방 접종을 실시
46. 한국형 출혈열의 임상 경과를 5단계로 나누어 설명한다.
1) 발열기(3-5일간); 발열, 권태감, 심한 두통, 얼굴 및 몸통의 발적, 결막 충혈, 출혈반, 혈소판 감소, 단백뇨 등을 나타낸다.
2) 저혈압기(1-3일간); 전신 증상이 계속되고, 불안해 보이며, 심하면 착란, 섬망, 혼수 등 쇼크 증상을 보이며, 심한 단백뇨, 빈뇨가 나타나고, 혈소판 감소, 백혈구 증가증, 혈뇨, 토혈, Hematocrit 상승 등을 볼 수 있다.
3) 감뇨기(3-5일간); 오심, 구토, 핍뇨, 질소혈증, 전해질 이상(K증가),
고혈압, 때로는 뇌부종, 폐수종도 볼 수 있다.
4) 이뇨기(7-14일간); 신기능이 회복되는 시기로, 다량의 배뇨가 있다(3-8L/일),
심한 탈수, 쇼크, 폐합병증으로 사망할 수 있다.
사망예의 신수질에서 출혈성 괴사를 볼 수 있다.
5) 회복기(1-2개월간)
47.소아에서 인간 면역 결핍증 바이러스 감염 경로의 이해
1) 3가지 주요 위험요소:
: 감염된 모체로부터의 출생, 오염된 혈액 제제 투여 및 성접촉 또는
정맥내 약물 복용
2) 주산기 HIV-1전파가 소아 AIDS의 중요한 원인
48. 쯔쯔가무시열의 감염 경로, 임상증상 을 설명하라.
감염 경로:진드기에 의해서 매개됨(원인균:R.tsutsugamushi)
가을철에 호발하며 소아에서는 비교적 드물다.
임상증상: 1-2주의 잠복기를 거쳐 고열, 오한 두통
피부발진 및 림프절 비대가 나타난다.
피부 발진:발병후 5-8일경 몸통에 주로 생긴다.
간,비종대 결막충혈.진드기가 문 곳에 피부 궤양이나 가피(eschar)형성됨
제 6 절 기생충 감염
1. 선충류 감염
가. 회충증의 원인, 임상증상 및 치료를 설명한다.
원인; Ascaris lumbricoides
임상 증상; 대개 특이 증상 없읍.
구역질, 구토 복통, 식욕감퇴, 체중 감소, 정서 불안, 영양 장애, 토식증 등이 올 수 있다.
유충의 체내 이행시; 발열 중등도의 호산구증, 폐렴, 장폐색, 장천공, 충수염, 담낭염 등을 일으킬 수 있다.
치료; Pyrantel pamoate - 11mg/kg/day(Max 1g) 1회 복용
Mebendazole - 200mg for 2~3days, 2세 이상에서 사용
Piperazine - 50~70mg/kg/day(Max 3.5g) 1회, 2일간 복용
2. 흡충류 감염
가. 간디스토마증의 원인, 임상증상 및 치료를 설명한다.
원인; Clonorchis sinensis
임상 증상; 경감염시에는 대부분 증상이 없다.
발열, 상복부 동통, 간비대, 황달, 두드러기, 호산구증
심한경우- 만성설사, 문맥순환 장애로 인한 부종, 위장 출혈, 빈혈, 영양장애, 야맹증, 황달, 간경변, 간암 등.
치료; Praziquantel - 25mg/kg씩 1일 3회 2일간 복용
나. 폐디스토마증의 임상증상 및 치료를 설명한다.
원인; Paragonimus westermani
임상 증상; 기침, 쇠 녹물색 가래, 각혈, 기관지 확장증, 기관지성 폐렴, 흉막염, 농흉
뇌에 이소 기생 - 복통, 간질, 경련, 마비 등
치료; Praziquantel - 25mg/kg씩 1일 3회 2일간 복용
Bithionol - 30-50mg/kg씩 격일로 10-15번 복용
5. 장내 기생 원충증
가. 아메바증의 원인, 임상증상 및 치료를 설명한다.
원인; Entamoeba histolytica
임상증상;급성 혹은 아급성 -오한, 복부경련, 구토, 하루 수십회씩 달하는 점액성 혈변 설사
세균성 이질과 유사하나 대개 열이 없고, 이급후증이 심하지 않다.
만성기 - 설사가 간헐적으로 오고, 때로는 심한 변비,
지속적인 설사가 교대로 나타남.
치료;Metronidazole - 30~50mg/kg/day 3회 분복, 10일간 복용
증상은 대개 1주일 이내에 호전, 입원아의 20%에서는 1주 이상 지속
바이러스 배설은 증상 발현 후 7~8일간 지속
면역 결핍 환자에서 만성 설사증을 유발할 수 있다.
성인에서는 대부분 무증상 감염.
44. 장 바이러스 감염
가. 장 바이러스 감염의 유행시기를 기술한다.
8, 9, 10월에 많이 발생.
다. Herpangina와 수족구병의 특징적인 발진 양상을 기술한다.
herpangina; 발열이 있는 동안에 구이두 부위에 1~2mm크기의 소포, 궤양
지름이 10mm의 홍반으로 둘러싸임
수족구병(hand, foot, and mouth disease)
; 내진과 발진의 복합형은 영.유아에서 100%, 학동기아에서 38%,
성인에서 11%
4~8mm크기의 궤양성 구내병소가 혀와 협점막에 주로,
3~7mm크기의 수포성으로 발보다는 손에 손발 바닥보다는
손발등에 자주 생긴다.
45. 일본 뇌염
가. 일본 뇌염 바이러스의 전파 양식을 설명한다.
전파양식; 뇌염 모기인 Culex tritaeniorrhynchus가 사람을 물어서 흡혈할 때에 감염.
바이러스는 가축(돼지 닭등)의 체내에서 잘 번식, 이들이 중요한 바이러스의 중간숙주의 역 할을 함. 중간 숙주의 혈액을 흡혈한 후 사람을 물어서 전파.
나. 일본 뇌염의 임상증상, 진단 방법 및 예방 원칙을 설명한다.
임상 증상; 불현성 감염이 대부분임.
뇌염까지 발전하지않는 부전형(abortive type)이 많은 것으로 생각됨
잠복기 - 4~14일, 전구기 - 2~3일, 급성기 - 4~7일,
아급성기 - 7~10일, 회복기 - 4-7주
발병은 급성으로 진행, 고열 두통, 현기증, 구토, 무욕 상태 혹은 흥분 상태 등이 나타남.
-병이 진행되면 의식 장애, 경련, 혼수, 사망에 이름.
-어떤 환아는 사지에 마비가 와서 소아마비나 뇌졸증과 비슷한 증상 보이기도 함.
-근육 강직, tremor, 개구 불능도 나타날 수 있다.
-진단 방법; 지역, 발생 계절, 연령, 고열 및 의식 장애등의 임상 증상,
CSF 소견 등으로 일본 뇌염을 의심하게 되나
확진은 혈청학적 검사에 의하거나 뇌조직에서의 바이러스 추출 및
형광 항체 염색을 통한 항원 검출.
-예방원칙;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하며, 모기 유충의 번식을 방지,
유행지역에서는 예방 접종을 실시
46. 한국형 출혈열의 임상 경과를 5단계로 나누어 설명한다.
1) 발열기(3-5일간); 발열, 권태감, 심한 두통, 얼굴 및 몸통의 발적, 결막 충혈, 출혈반, 혈소판 감소, 단백뇨 등을 나타낸다.
2) 저혈압기(1-3일간); 전신 증상이 계속되고, 불안해 보이며, 심하면 착란, 섬망, 혼수 등 쇼크 증상을 보이며, 심한 단백뇨, 빈뇨가 나타나고, 혈소판 감소, 백혈구 증가증, 혈뇨, 토혈, Hematocrit 상승 등을 볼 수 있다.
3) 감뇨기(3-5일간); 오심, 구토, 핍뇨, 질소혈증, 전해질 이상(K증가),
고혈압, 때로는 뇌부종, 폐수종도 볼 수 있다.
4) 이뇨기(7-14일간); 신기능이 회복되는 시기로, 다량의 배뇨가 있다(3-8L/일),
심한 탈수, 쇼크, 폐합병증으로 사망할 수 있다.
사망예의 신수질에서 출혈성 괴사를 볼 수 있다.
5) 회복기(1-2개월간)
47.소아에서 인간 면역 결핍증 바이러스 감염 경로의 이해
1) 3가지 주요 위험요소:
: 감염된 모체로부터의 출생, 오염된 혈액 제제 투여 및 성접촉 또는
정맥내 약물 복용
2) 주산기 HIV-1전파가 소아 AIDS의 중요한 원인
48. 쯔쯔가무시열의 감염 경로, 임상증상 을 설명하라.
감염 경로:진드기에 의해서 매개됨(원인균:R.tsutsugamushi)
가을철에 호발하며 소아에서는 비교적 드물다.
임상증상: 1-2주의 잠복기를 거쳐 고열, 오한 두통
피부발진 및 림프절 비대가 나타난다.
피부 발진:발병후 5-8일경 몸통에 주로 생긴다.
간,비종대 결막충혈.진드기가 문 곳에 피부 궤양이나 가피(eschar)형성됨
제 6 절 기생충 감염
1. 선충류 감염
가. 회충증의 원인, 임상증상 및 치료를 설명한다.
원인; Ascaris lumbricoides
임상 증상; 대개 특이 증상 없읍.
구역질, 구토 복통, 식욕감퇴, 체중 감소, 정서 불안, 영양 장애, 토식증 등이 올 수 있다.
유충의 체내 이행시; 발열 중등도의 호산구증, 폐렴, 장폐색, 장천공, 충수염, 담낭염 등을 일으킬 수 있다.
치료; Pyrantel pamoate - 11mg/kg/day(Max 1g) 1회 복용
Mebendazole - 200mg for 2~3days, 2세 이상에서 사용
Piperazine - 50~70mg/kg/day(Max 3.5g) 1회, 2일간 복용
2. 흡충류 감염
가. 간디스토마증의 원인, 임상증상 및 치료를 설명한다.
원인; Clonorchis sinensis
임상 증상; 경감염시에는 대부분 증상이 없다.
발열, 상복부 동통, 간비대, 황달, 두드러기, 호산구증
심한경우- 만성설사, 문맥순환 장애로 인한 부종, 위장 출혈, 빈혈, 영양장애, 야맹증, 황달, 간경변, 간암 등.
치료; Praziquantel - 25mg/kg씩 1일 3회 2일간 복용
나. 폐디스토마증의 임상증상 및 치료를 설명한다.
원인; Paragonimus westermani
임상 증상; 기침, 쇠 녹물색 가래, 각혈, 기관지 확장증, 기관지성 폐렴, 흉막염, 농흉
뇌에 이소 기생 - 복통, 간질, 경련, 마비 등
치료; Praziquantel - 25mg/kg씩 1일 3회 2일간 복용
Bithionol - 30-50mg/kg씩 격일로 10-15번 복용
5. 장내 기생 원충증
가. 아메바증의 원인, 임상증상 및 치료를 설명한다.
원인; Entamoeba histolytica
임상증상;급성 혹은 아급성 -오한, 복부경련, 구토, 하루 수십회씩 달하는 점액성 혈변 설사
세균성 이질과 유사하나 대개 열이 없고, 이급후증이 심하지 않다.
만성기 - 설사가 간헐적으로 오고, 때로는 심한 변비,
지속적인 설사가 교대로 나타남.
치료;Metronidazole - 30~50mg/kg/day 3회 분복, 10일간 복용
추천자료
과학영재교육(과학기술영재교육)의 목표, 과학영재교육(과학기술영재교육)의 교수학습방법, ...
과학과(과학교육)의 성격과 목표 및 학습유형, 중학교(중등) 과학과(과학교육)의 교육현황, ...
국사과(국사교육)의 특징, 목표, 교수학습원리, 중학교(중등) 국사과(국사교육)의 내러티브 ...
무용학습(무용교육, 무용지도)의 특성, 무용학습(무용교육, 무용지도)의 목표, 무용학습(무용...
공통사회과교육(학습, 수업)의 목표, 공통사회과교육(학습, 수업)의 등급화, 공통사회과교육(...
과학과수업(학습, 교육)의 목표와 동기부여, 과학과수업(학습, 교육)의 재구성, 과학과수업(...
수준별교육과정(수준별학습수업) 의미와 유형, 수준별교육과정(수준별학습수업) 도입배경과 ...
도덕과교육(수업, 학습) 성격과 원리, 도덕과교육(수업, 학습) 목표, 도덕과교육(수업, 학습)...
사회과학습(수업, 교육)의 특성, 사회과학습(수업, 교육) 목표, 사회과학습(수업, 교육) 발문...
구성주의수업(구성주의학습이론)의 원칙, 구성주의수업(구성주의학습이론) 교수학습원리와 이...
국어과(국어학습, 국어교육)의 목표와 내용체계, 국어과(국어학습, 국어교육)의 ICT, 국어과(...
한문과교육(학습, 수업) 목표와 성격, 한문과교육(학습, 수업) 구성주의이론, 한문과교육(학...
국어과(국어학습, 국어교육) 특성과 목표, 국어과(국어학습, 국어교육) 실태와 내용, 국어과(...
평생교육(평생학습)의 정의, 평생교육(평생학습) 목표, 평생교육(평생학습) 특성, 평생교육(...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