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산업의 현황과 정책 및 전망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음악산업의 현황과 정책 및 전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음악산업에 관한 이론적 고찰
1. 대중음악의 정의
2. 음반산업의 정의
3. 음악의 상품적 특성
4. 음반산업의 특성

Ⅲ. 음악산업의 정책 현황 및 전망
1. 음악산업의 정책 현황
2. 음악산업의 전망

본문내용

Singapore Harmony Night”)
- 일 자 : 11월 5일(화), 18:00~19:30
- 장 소 : THE RITZ-CARLTON Millenia Singapore 호텔 연회장
- 참 석 자 : 한-싱 양국 정부 관계 인사 및 음악산업 관계자, 미디어, 콘서트 출연진 등 약 100여명
·음반산업 관계자 주요언론사 기자 - 60명
·한국출연진 - 25명
·정부 관계 인사 - 15명
- 행사내용 : 기자간담회, 참가업체 홍보물 배포 및 기업교류를 통한 네트워킹 기회 제공
2) 드라마 OST 영상음악제 개최
드라마 OST 영상음악제 개최 사업은 한류 드라마의 최대 소비국인 일본에서 국내 인기 드라마와 함께 OST의 음악과 아티스트를 홍보하는 사업이다. 현지인을 대상으로 한 무료 공연과 현지 음악관계자와의 네트워크 구축을 위해 B2B 형식의 기업교류회로 진행된다. 아티스트의 해외 인지도 및 Direct Marketing 강화를 통해 아시아권 중심으로 한류를 지속하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
다. 음악산업 정책연구 지원
1) 음악산업진흥 정책 개발
국내 음악산업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발전적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주요 문제점에 대한 대응책을 마련할 수 있는 네트워크의 구축 및 토론의 장을 마련하여 연구조사 사업을 활성화해야 한다. 음악산업계 이슈에 대한 객관적 연구·분석 보고서를 발행하여 산업계에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정책 기초 자료로 활용하며, 음악산업 분야별로 관련 정보를 제공해 의견을 수렴하여 산업계와 밀착된 정책을 수립하고 수행하고자 한다. 또한 음악산업계의 정책 인식과 수요를 직접 파악하여 음악산업 진흥에 관한 지표로 활용하고 활발한 교육 및 토론을 통한 음악산업계 발전 방향 제시 및 개선을 목적으로 한다.
2) 음악산업백서 발간
음악산업백서 발간사업은 체계적인 음악산업의 각 분야별 통계조사와 분석을 통하여 음악산업의 실태를 파악하고 연도별 성과를 조망함으로써 급변하는 시장 환경변화에 대한 정책 및 전략수립을 위한 좌표를 마련하기 위함이다. 산재되어 있는 음악산업 관련 통계자료를 체계적인 기준에 맞추어 정리함으로써, 산업경기 분석 및 전망을 제시하고, 산업계의 성공적인 신규비즈니스 전략 수립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해외 음악산업 관계자들에게 구체적이고 정확한 한국 음악산업 관련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2. 음악산업의 전망
과거 오랜 시간 동안 음악산업을 대변해왔던 음반시장의 규모는 2000년을 정점으로 지속적인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음반시장이 여러 강점과 기회를 가지고 있는 것은 분명하지만, 전 세계 음반시장과 마찬가지로 한국의 음반산업 역시 지속적인 규모 축소가 불가능한 것으로 예상되는 바, 디지털음악매체 및 공연 등을 통한 다양한 신규 시장 확대라는 과제가 우리 음악산업계 앞에 놓여진 과제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국내의 디지털 음악산업은 음반산업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의 성장세를 보이며 이미 음악산업의 중심에 자리잡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도 디지털 음악은 가장 높은 관심과 많은 논란을 일으키고 있는 음악산업의 분야이다. 초기의 디지털 음악시장은 잘 구축된 IT 인프라와 함께 급격한 성장세를 보이며, 2004년을 정점으로 음반산업의 규모를 상회하기에 이르렀다. 디지털 음악시장의 성장을 통해 국내 음악산업계에도 싱글 단위의 앨범 제작이 활성화되었다는 점 역시 주목할 만하다. 해외에서 이미 오래전에 활성화된 싱글 시장은 제작비의 감소로 인해 다양한 아티스트와 다양한 음악을 소개하는 것을 용이하게 만들었다. 그리고 소비자들은 원하는 곡을 듣기 위해 앨범 전체를 구입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디지털 음악시장의 성장과 함께 불법 음악시장 역시 급속히 확산되어 음악산업의 질적·양적 성장을 저해하는 중요한 요소로 꼽히고 있다.
2007년부터 꾸준히 논의되어 온 음악시장의 규모상승을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소리바다 등의 특수한 유형의 OSP의 제도권 진입추진이 적극적으로 추진되었으며, Non-DRM(Digital Rights Management) 상품 출시에 따른 소비자의 사용 편이성 증진 역시 향후 디지털 음악산업의 성장에 기여하는 바가 클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하지만 디지털 음악사용료의 배분을 둘러싼 갈등 및 온라인 음악서비스 분야의 획일적인 요금제와 서비스 모델 역시 향후 음악시장의 성장을 위해 해결해야 할 과제로 남아있다.
음악산업에서 디지털 음악시장과 함께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분야는 공연산업 분야이다. 한국의 공연산업은 대형 뮤지컬시장의 팽창, 중소 뮤지컬의 활성화, 대형 해외가수의 내한 공연 및 대규모 대중음악 페스티벌의 개최 등을 통해 지속적인 성장세를 이룩해 왔다. 음반산업의 지속적 하락 및 불법 시장의 확산으로 인한 디지털 음악산업의 정체를 고려할 때, 대중과의 직접적인 접점을 확대하고 수익원을 다각화 할 수 있는 공연산업의 성장은, 음악산업의 성장 및 발전을 위한 주요 과제라고 할 수 있다.
2000년대 초반 이후 일본, 중국 및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한국의 대중음악, 영화, 드라마 등에 열광해온 이른바 한류열풍은 한국대중음악이 타 분야와 적극적으로 교류하며 해외 진출을 확대할 수 있는 좋은 기회로 볼 수 있다. 보아, 비, 동방신기 등 한류가수들이 일본 및 중국 등지에서 좋은 반응을 얻었으나, 최근 현지의 반한류·혐한류 등의 정서 및 매력적인 콘텐츠의 지속 생산·보급의 어려움으로 인해 한류가 주춤하고 있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내수시장의 한계를 극복하고 한국 대중음악의 국가 브랜드 가치를 제고하기 위해 아시아 시장에서의 상호 협력을 강화하고, 유럽, 미주 등 신시장 개척을 위한 전략이 절실히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권준원, 한국 대중음악 공연의 현황과 문화산업적 발전 가능성에 대한 연구, 2003
문화체육관광부,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2006음악산업백서", 2006
사이먼프리프, 케임브리지 대중음악의 이해, 장호인(역), 서울:한나래, 2005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2008 음악산업백서』, 2009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2008/ 2007년 문화콘텐츠사업체 실태조사』, 2009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2.12.07
  • 저작시기2012.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2462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