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연극 연기
1) 연극은 극본을 희곡이라고 부른다.
2) 연극은 극장과 무대의 크기와 환경조건에 맞춰야 한다.
3) 육체적인 조건, 연극에서는 60여세의 늙은 배우가 20세의 젊은이로 분장할 수 있다.
4) 연극연기는 막이 열릴때 시작하여 내릴 때까지 계속 실연한다.
5) 연극은 마이크와 카메라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큰 연기가 필요하다.
6) 연극연기는 관객들도 연기를 함께 실연할 수 있어야 한다.
2. 영화 연기
1) 영화연기는 연출과의 많은 대화를 필요로 한다.
2) 영화연기는 스텝들과의 친화력이 있어야 한다.
3) 영화배우를 도구시 한다.
4) 영화연기는 카메라가 이동하면서 배우를 포착할 수 있다는데 있다.
5) 영화연기는 허구성보다는 현재성이 강하다.
6) 영화연기는 부분 부분으로 나누어 실연하는 연기형태이다.
7) 영화는 다양한 사이즈의 샷과 더불어 연기하는 것이다.
8) 영화연기는 단순화하고 간결하게 실연하는 특징을 지녔다.
참고문헌
1) 연극은 극본을 희곡이라고 부른다.
2) 연극은 극장과 무대의 크기와 환경조건에 맞춰야 한다.
3) 육체적인 조건, 연극에서는 60여세의 늙은 배우가 20세의 젊은이로 분장할 수 있다.
4) 연극연기는 막이 열릴때 시작하여 내릴 때까지 계속 실연한다.
5) 연극은 마이크와 카메라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큰 연기가 필요하다.
6) 연극연기는 관객들도 연기를 함께 실연할 수 있어야 한다.
2. 영화 연기
1) 영화연기는 연출과의 많은 대화를 필요로 한다.
2) 영화연기는 스텝들과의 친화력이 있어야 한다.
3) 영화배우를 도구시 한다.
4) 영화연기는 카메라가 이동하면서 배우를 포착할 수 있다는데 있다.
5) 영화연기는 허구성보다는 현재성이 강하다.
6) 영화연기는 부분 부분으로 나누어 실연하는 연기형태이다.
7) 영화는 다양한 사이즈의 샷과 더불어 연기하는 것이다.
8) 영화연기는 단순화하고 간결하게 실연하는 특징을 지녔다.
참고문헌
본문내용
것들만을 골라서 표현해야 한다. 만약 복잡하게 작은 동작들이 많아졌다면, 컷별로 촬영한 동작들이 어수선하여, 편집하기 어렵고 결국에는 매끄럽지 못함을 보인다.
간결성은 짧은 순간에 재치있는 감정을 드러내는 것을 의미한다. 영화연기는 짧은 한 순간(컷) 한 순간에 따라 감정을 전환시켜가며 재연할 수 있는 재치가 있어야 한다. 부분 부분
나누어 촬영하는 영화에 출연하였을 때 넓게 열려진 상태로 재연한다면, 감정연결이 자연스럽지 못하여 지저분해 보이므로 간결성을 잃지 말아야 한다.
영화연기는 대화에서 듣고 있는 배우만을 세워두고 찍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럴때 클로즈업(close-up)으로 표정만을 찍는 경향이 보통이므로, 시선처리와 상대방 연기자가 외우는 대사나 행동, 감정의 톤, 극정인 분위기를 기억하고 실연하고 해야 한다.
영화가 동시녹음으로 촬영되지 않았을 때는 편집을 마친 다음에 대사(해설)와 음향(효과), 그리고 음악을 따로 넣게 된다. 이러한 작업을 ‘더빙(dubbing)’이라 하는데 편집된 장면을 보면서 대사를 할 때는 섬세한 감정호흡을 잘 활용해야 현장감을 살릴 수가 있다.
영화배우는 대사를 암기하기 보다는 시나리오(scenario)를 잘 읽고 작품전체와 맡은 배역의 특징과 성격 등을 충분히 이해하는 일이 중요하다. 시나리오를 많이 읽는 것도 다른 매체의 연기자와 다른 차이이다. 즉, 배역연구보다는 작품을 철저히 파악하는 일이 더 중요하다.
참고문헌
정봉석 저, 연극과 영화, 동아대학교출판부 2011
김일영 저, 연극과 영화의 이해, 느티나무 2002
하경화 저, 연극과 영화, 애드 2011
간결성은 짧은 순간에 재치있는 감정을 드러내는 것을 의미한다. 영화연기는 짧은 한 순간(컷) 한 순간에 따라 감정을 전환시켜가며 재연할 수 있는 재치가 있어야 한다. 부분 부분
나누어 촬영하는 영화에 출연하였을 때 넓게 열려진 상태로 재연한다면, 감정연결이 자연스럽지 못하여 지저분해 보이므로 간결성을 잃지 말아야 한다.
영화연기는 대화에서 듣고 있는 배우만을 세워두고 찍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럴때 클로즈업(close-up)으로 표정만을 찍는 경향이 보통이므로, 시선처리와 상대방 연기자가 외우는 대사나 행동, 감정의 톤, 극정인 분위기를 기억하고 실연하고 해야 한다.
영화가 동시녹음으로 촬영되지 않았을 때는 편집을 마친 다음에 대사(해설)와 음향(효과), 그리고 음악을 따로 넣게 된다. 이러한 작업을 ‘더빙(dubbing)’이라 하는데 편집된 장면을 보면서 대사를 할 때는 섬세한 감정호흡을 잘 활용해야 현장감을 살릴 수가 있다.
영화배우는 대사를 암기하기 보다는 시나리오(scenario)를 잘 읽고 작품전체와 맡은 배역의 특징과 성격 등을 충분히 이해하는 일이 중요하다. 시나리오를 많이 읽는 것도 다른 매체의 연기자와 다른 차이이다. 즉, 배역연구보다는 작품을 철저히 파악하는 일이 더 중요하다.
참고문헌
정봉석 저, 연극과 영화, 동아대학교출판부 2011
김일영 저, 연극과 영화의 이해, 느티나무 2002
하경화 저, 연극과 영화, 애드 2011
추천자료
폭력과 담배연기 없는 건전한 학교 문화의 정착 사례 고찰
[철학]연기설
[불교][불교사상][불교문화][연기론][한국문화][불교 기원][불교 목적][불교 내용][불교 전개...
금연!뿌연 연기속에서 벗어나자
[담배][흡연][금연]담배 유래,특징, 담배연기 유해물질, 흡연 유발 질병, 담배소비량, 간접흡...
담배연기의구성성분
흡연의 유해성, 흡연 습관, 흡연과 질병, 흡연관련 질병과 사망자 수, 담배연기의 종류, 간접...
[사은][사은사상][은사상][세계관][법계연기][신앙][생철학]사은(사은사상)의 세계관, 사은(...
kt아이폰4 출시연기사례
[아스팔트][아스팔트의 성질][아스팔트의 품질관리][아스팔트의 연기][아스팔트의 용해][아스...
테네시 윌리엄스 여름과 연기
[A+] [공학윤리사례] 프랑스 몽블랑터널 화재사고 공학윤리적 오류 터널화재사례 터널사고...
청소년지도 리더십의 실습(역할연기를 통한 리더십실습)
[부모됨] 부모되기 - 자녀출산(자녀를 갖는 이유, 자녀출산의 연기), 자녀출산의 영향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