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휘력 평가의 개념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어휘력 평가의 개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어휘 및 어휘력의 개념
1. 어휘의 개념
2. 어휘력의 개념

Ⅱ. 어휘력 평가의 목적과 목표
1. 교육 과정의 검토
2. 어휘력 평가의 지향점

Ⅲ 어휘력 평가의 내용
1. 어휘량의 평가
2. 어휘질의 평가

Ⅳ. 어휘력 평가의 방법
1. 수업-평가 공존 모형
2. 독해력 평가 모형
(가) 어휘의 이해와 사용
(나) 어휘용법의 이해와 사용
(다) 어법의 이해와 사용
3. 문제은행식 평가 모형

본문내용

의어 17.옷장, 문갑, 책상의 상의어 18.희극의 반의어 19.죽다의 반의어 21.고기의 하의어독이 있어서 잘못 먹으면 큰일남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질문 낱말판) (정답 낱말판)
기존의 문제은행식 평가 모형은 그 나름대로 특색과 의의를 지니고 있다. 그런데, 이 모형을 학습자의 어휘력 평가의 척도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다음 사항이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44)a. 초, 중, 고등학교 수준별 어휘력의 양과 질을 잴 수 있는 평가 문항의 개발
b. 한 평가지의 어휘력 양과 질의 비율 및 질의 경우 세부 사항의 비율
c. 한 평가지에 적합한 문항 수와 시간
d. 평가 준거(규준지향 평가 및 목표지향 평가)에 따른 어휘력 측정 결과의 처리 기준
e. 문제은행의 정신에 맞게 개발된 문제의 보급과 보안 유지
요컨대, 이 모형은 어휘력을 포괄적이고 합리적으로 잴 수 있다는 점에서 어휘력 평가의 좋은 척도로 기대되는데, 이를 위해서는 문항의 개발에 지혜를 모으고 표준화를 확보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편(1997), 한국어 능력평가: 문법 및 문장편, 국학자료원.
공일주(1993), “한국어 숙달 지침과 말하기 능력 측정에 대하여”, 교육 한글 6, 한글학회.
김광해(1989), “二次 語彙의 敎育에 대하여”, 先淸語文 1617, 서울대 사범대 국어교육과.
김광해(1990), “어휘 교육의 방법”, 국어 생활 22, 국어연구소.
김광해(1993), 국어 어휘론 개설, 집문당.
김광해(1997a), 국어지식 교육론, 서울대학교출판부.
김광해(1997b), “어휘력과 어휘력의 평가”, 先淸語文 25, 서울대 사범대 국어교육과.
김대행(1995), 국어교과학의 지평, 서울대학교출판부.
김대행(1997), “英國의 文學敎育: 評價를 통한 言語와 文學의 透視”, 국어 교육연구 4, 서울대학교 교육종합연구원 국어교육연구소.
김석득서정수최기호(1991), 당신은 우리말을 얼마나 아십니까?, 샘터.
김수업(1984), “교육 과정(국어과)의 내용영역에 대하여”, 모국어교육 2, 모국어교육학회.
김수업(1989), 국어 교육의 원리, 청하.
김용석(1991), “어휘지도에 대하여”, 모국어교육 9, 모국어교육학회.
김유정방성원이미혜조현선최은규(1998), “한국어 능력 평가 방안 연구”, 한국어 교육 9-1, 국제 한국어 교육 학회.
김은실(1995), “‘언어 체험 교실’ 운영과 ‘언어 평가 방법’ 개선에 관한 연구”, 교육 한글 8, 한글학회.
김종택(1992), 국어 어휘론, 탑출판사.
노대규(1983),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시험과 평가”, 二重言語學會誌 1, 이중언어학회.
박영순(1998), 한국어 문법 교육론, 박이정.
孫英愛(1992), “國語 語彙 指導 方法의 比較 硏究: 漢字 利用 與否를 中心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어교육과 박사학위논문.
원진숙(1997), “말하기듣기 영역의 평가: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97 말하기듣기 영역 교육 과정 내용의 체계화 연구 보고서,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이기문 편저(1985), 당신의 우리말 실력은?, 리더스다이제스트.
이영숙(1996), “국어과 지도 대상 어휘의 선정 원리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어교육연구회.
李翊燮(1986), 國語學槪說, 學硏社.
이충우(1994), 한국어 교육용어휘 연구, 국학자료원.
이해명 역(1983), 교육적 상상력, 단국대출판부.
임지룡(1984), “중학교 국어과 교육 과정의 흐름 검토”, 모국어교육 2, 모국어교육학회.
임지룡(1987), “국어과 ‘언어’ 영역에 대하여”, 모국어교육 5, 모국어교육학회.
임지룡(1989), “교육 과정 운영과 국어교육”, 敎育硏究 9-1, 韓國敎育生産性硏究所.
임지룡(1991), “국어의 기초어휘에 대한 연구”, 국어교육연구 23, 국어교육연구회.
임지룡(1997), “학교 문법의 새 교과서 내용 검토: 의미이야기 편”, 한글사랑 봄호, 한글사.
임지룡(1997), 인지의미론, 탑출판사.
임칠성水野俊平北山一雄(1997), 한국어 계량연구, 전남대학교 출판부.
전국국어교사모임(1995), 함께하는 국어수업 1-1: 제6차 중학교 국어 1학년 1학기 수업 지도안과 참고 자료
전은주(1997), “한국어 능력 평가: 말하기 능력 평가범주 설정을 위하여”, 한국어학 6, 한국어학회.
정 광고창수김정숙원진숙(1994), “한국어 능력 평가 방안 연구: 언어숙달도(profciency)”, 한국어학 1, 한국어학회.
조철원(1997),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 어휘 연구”, 경남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최문경(1992), “낱말지도에 관한 연구”, 모국어교육 10, 모국어교육학회.
최인철(1993), “외국어능력 검정시험 개발 모델”, 語學硏究 29-3, 서울대학교 어학연구소.
최충일(미간),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하) 어휘 연구”.
野間秀樹 編(1998), 朝鮮語 分類基礎語彙集, 東京外國語大學 語學敎育硏究協議會.
Aitchison. J,(1987/1994), Words in the Mind: An Introduction to the Mental Lexicon, Oxford: Basil Blackwell. (임지룡윤희수 옮김(1993), 심리언어학: 머 리속 어휘사전의 신비를 찾아서, 경북대학교 출판부.)
Aitchison, J.(1997), The Language Web: The Power and Problem of Word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Madsen, H.S.(1983), Techniques in Testing.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Miller, G.A.(1991), The Science of Words. New York: Scientific American Library.
  • 가격3,000
  • 페이지수42페이지
  • 등록일2014.10.14
  • 저작시기2014.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4129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