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계시록의 신학」. 이필찬 역, 서울: 한들출판사, 2004.
2. 심상길. “요한계시록에서의 기독론”. 웨스트민터신학대학원대학교, 2001 Ⅰ. 보좌와 어린양
Ⅱ. 처음과 나중
Ⅲ. 예수께 드려지는 예배
Ⅳ. 그리스도가 하시는 것을 하나님께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03.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있다.
요컨대 바르트와 브루너의 논쟁의 중점은 ‘계시’에 있었다. 하나님의 계시의 도구가 ‘창조’인가 아니면 ‘예수 그리스도’ 인가의 문제이다. 이 세상에서 인류에게 가장 큰 ‘계시’는 바로 예수그리스도이시다. 신학은 하나님을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12.09.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신학이 인정하였는데 이것을 부정하고 있다.
바르트는 이런 네 가지 질문으로 계시신학을 이야기 하고 있다. 하지만 계시신학을 부정할 때 역사적인 모습을 통하여 부정했기 때문에 자연신학을 원칙적으로 부정한 것은 아니다.
바르트 이외
|
- 페이지 24페이지
- 가격 3,500원
- 등록일 2019.07.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계시와 동일시하였다.
② 중세시대 - 구술적(oral) 계시를 덧붙여 성경의 권위를 손상시켰다.
③ 종교개혁시대 - 성경을 영감 된 하나님의 말씀(계시)으로 믿었다.
④ 현대신학 - 인간의 작품이라는 수준으로 끌어내렸다.
⑤ 개혁파 - 종교개혁의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2.03.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계시록이 요청하고 있는 바는 짐승이나 바벨론과 한패가 되어 그들의 파멸에 참여하지 말고 용감하고 충성되게 예수의 증거를 죽기까지 붙들라는 것이다. 이러한 방법으로 그들은 만국 백성의 구원을 위해 하나님의 특별한 백성이 되는 소명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4.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