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합검색
  • 대학레포트
  • 논문
  • 기업신용보고서
  • 취업자료
  • 파워포인트배경
  • 서식

전문지식 55건

낙랑군은 그에 인접한 동북부 영정하와 난하 일대에 있었다"라는 식의 주장은 그만두어야 할 것이다. 다만 공손氏가 설치한 대방군이 황해도에 있었다고 보는 통설이 타당하다고 하여 광개토왕비문 영락14년(404)조의 '대방계(帶方界)'도 황해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0.04.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이러한 사실은 연, 진 장성의 동쪽 끝에 대한 고찰을 통해서도 살펴보았다. 연, 진 장성의 동단에 대해 요동설, 요서 갈석산설, 낙랑군 수성현설 등이 제기 되어 왔다. 이중 문헌과 실물 유적을 통해 요동설이 타당함을 밝혔다. 또한 평양이 낙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3.11.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낙랑군은 평양이 아닌 이들 강을 낀 지역에 존재했음을 알 수 있다. 대동강 유역에서 발견된 낙랑의 유적은 한사군이 설치한 낙랑군이 아닌 낙랑 지역의 고조선이 망한 뒤 일부가 대동 강변으로 들어와 세운 낙랑왕국의 유적일 뿐, 낙랑군이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7.08.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낙랑군 연구》, 사계절, 2006. 정인성, <일제강점기의 낙랑고고학>,《이주의 고고학》, 한국고고학회, 2010 국립중앙박물관, 《낙랑》, 솔, 2001 이성시, <동아시아에서의 낙랑-과제와 방법에 대한 시론->, 2004 권오중, <중국사에서의 낙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1.10.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낙랑군 조선현의 치소가 지금의 평양시 대동강 남안의 토성동 토성이라는 점, 왕험성 및 조선현과 깊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열수(列水)가 지금의 대동강으로 비정되고 있다든지 하는 점을 통해서 입증된다. 따라서 위만조선이 전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5.09.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논문 1건

점령하고 평안남도와 황해도 일대에 설치한 군현(郡縣)으로, 낙랑군 외에도 진번, 임둔, 현도 등 3개가 더 있었다. 이 설치된 이후에 쓰여진 기록이라는 사실은 특히 눈여겨볼만 하다. 준왕과 역계경이 최초로 언급된 진수의 <삼국지> 자체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000원
  • 발행일 2017.07.31
  • 파일종류 한글(hwp)
  • 발행기관
  • 저자
top